•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 연극과 윤리적 인본주의 톱스타노고프 연출의 <백치>(1957)를 중심으로 (Theater of Russia and ethic(moral) of the humanities -Based on (1957) directed by Tovstonogov)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7.12
42P 미리보기
러시아 연극과 윤리적 인본주의 톱스타노고프 연출의 &lt;백치&gt;(1957)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29권 / 4호 / 155 ~ 196페이지
    · 저자명 : 전정옥

    초록

    러시아 문화사, 사회사 전반에서 ‘60년대인들’(셰스치제샤트니키, шестидесятники)이란 스탈린 사후 해빙기 문화를 읽는 핵심어 가운데 하나이다. 인간다운 삶을 저해하는 다양한 형태의 폭력에 대한 비판이라는 ‘60년대인들’의 예술적 지향점은 ‘윤리적 인본주의(Этический гуманизм)’ 라는 특별한 용어를 부여받는다. 인간에게 가해지는 ‘폭력’에 대한 사유는 결국 인본주의가 지향하는 구심점과도 같은 질문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우선적으로 공유하며, ‘60년대인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이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온갖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편협함과의 냉철한 투쟁 같아 보였던 그들의 말과 행동에도 불구하고 결국 그들이 궁금한 것이 인간에 대한, 인간을 위한 것이었다는 것에 대한 평가로 보이는 ‘윤리적 인본주의’는 ‘60년대인들’의 해빙기 실천들을 폭넓게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러시아 연극에 있어 ‘60년대인들’의 ‘윤리적 인본주의’는 스탈린 사후 현대연극의 지향점을 만들어주었던 연출가들의 작업으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볼쇼이드라마극장을 거점으로 한 게오르기 톱스타노고프의 무대실험은 ‘60년대인들’의 윤리적 인본주의에 대한 극명한 예시라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톱스타노고프의 대표작품에 대한 공연비평적 분석을 통해 해빙기 ‘60년대인들’의 윤리적 인본주의 양상을 파악하고, 해빙기 인텔리겐치아들의 이데올로기를 선전하는 안내자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에 당면한 문제들을 직시토록 하는 수단으로서 연극무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스토옙스키의 무대사 및 문학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고 평가되는 톱스타노고프 연출의 <백치>를 중심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1957년 12월 31일 볼쇼이드라마극장에서 무대화된 톱스타노고프의 <백치>는 “당시연극계의 중요한 사건이었을 뿐만 아니라 소설의 연구에 있어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지고 온 작품”으로 평가되며, ‘60년대인들’이 ‘윤리적 인본주의’에 대한 지향을 통해 수행하고자 했던 연극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연구로서 가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e name Shestidesyatniki is the most significant keyword word from analyzing culture of politics and society from historical course of last 100 years of Russia society. Shestidesyatniki increased private ownership and executed action with two of the fundamental idea according to the time of thaw in the soviet society. Political idea of Shestidesyatniki receives a terminology as ‘ethical humanism which is an criticism of various type of violence hinders against value of human life. Shestidesyatniki try to find the solution about the humanistic orientation questions based on reason of ‘violence’ against human such as “What is human?” and “What is being human?” with their own method and share them preferentially. ‘Ethical humanism’ provides opportunity and meaningful to read widely about Shestidesyatniki’s executed action in the time of thaw in the soviet society despite of their action and statement of their narrow viewpoint of various political idea and philosophical struggle as their factual questions were assessed about human and for human-being. In Russia theater, ‘Ethical humanism can provide the explanation with work of directors who gained the intention point and the aesthetic ability from leading mentors of Russia’s theater of the beginning of last century in the golden age of theater of Russia after death of Stalin. Among the rest, the theatrical experiment of Tovstonogov based on BDT is the clear example of Shestidesyatniki’s ethical humanity. The Shestidesyatniki in theater as the example of ‘ethical humanity’ is as the closest heritage of ‘ethical humanity’ by director Tovstonogov among many directors. Because of these reasons,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Tovstonogov is in the center of modern theater of Russia even he was a Shestidesyatniki (from 60s’) result of the cultural phenomenon. This study discusses the understanding the aspect of ‘ethical humanity’ of Shestidesyatniki through analysis of main work of Tovstonogov, and the main guide role as a propagandist of the ideas of intelligentsiya in the time of thaw in the soviet society, furthermore discuss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theaters as the method of the facing the problem at hand in the society. In order to do this, <Idiot>(1957) directed by Tovstonogov is the main study subject because it is Highly respected in theatrical history and history of literature of Dostoevsky. The stage <Idiot> performed in BDT in 1957 is judged as important phenomenon at that time of era and contributed substantial meaning to study of society. Also, the value of research is great due to the study of social function of theater through ‘ethical humanity’ movement of Shestidesyatnik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어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