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魯西 尹宣擧 紀行詩의 몇 가지 측면 탐색 (A study on some characteristic aspects of Noseo Yun, Seon-geo’s travel poet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8.12
36P 미리보기
魯西 尹宣擧 紀行詩의 몇 가지 측면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98권 / 249 ~ 284페이지
    · 저자명 : 이송희

    초록

    이 논문은 노서 윤선거의 기행시를 통해 윤선거의 삶과 내면의식을 고찰한 연구이다. 먼저 기행시의 제작 연대에 따라 크게 고뇌의 형상화, 자유의지의 발현, 달관의 구현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윤선거의 시문학에서 기행시의 위상을 조명하였다.
    고뇌의 형상화에서 다룬 작품은 병자호란 후 10여 년 동안에 지어진 기행시로 자신에 대한 반성과 새로워지고자 하는 마음을 경물에 의탁하여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윤선거는 평생 벼슬하지 않은 처사의 신분으로 도학을 공부하고 후학을 양성했던 만큼 자신과 비슷한 삶을 살다간 인물들에 대해 감회를 읊었다. 선현들과 관련한 서원이나 누정을 읊은 시에서는 그들의 청렴과 절개, 학문과 덕행을 본받고자 하였다. 자유의지의 발현은 벗들과 함께 강학과 유람을 겸한 교유의 장에서 얻은 흥취를 형상화하였다. 황산서원, 고란사, 동학사. 계룡산 복림동 기행시를 통해 17세기 기호사림 학자들의 삶과 놀이문화 등을 살필 수 있다. 달관의 구현은 청정한 금강산과 관동지역을 유람하고 지은 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윤선거는 파동기행을 통해 세속의 티끌을 씻고 우주 만물의 이치를 헤아려 가슴속을 맑게 정화하는 청유의 산수 유람을 하였다. 또한 유람이 단순한 관광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관심사에 집중하는 기행 양상과 학문의 연장선에서 호연지기를 기르고 기호유학자로서 의리와 지조를 중시하는 도학자의 면모를 드러내었다.
    윤선거의 기행시는 자괴감과 반성 및 삶의 지향을 고뇌로 형상화, 학문 활동을 통한 산수 유람의 흥취로 자유의지를 발현, 청정한 자연에서의 청유로 달관의 자세 구현 등으로 심리가 변화됨을 보인다. 이 연구를 통해 윤선거의 삶의 지향과 가치, 17세기 기호사림학자들의 유람문화와 학문 활동 및 시회 모습, 금강산 기행문화 등을 알 수 있다. 윤선거는 시문학을 통해 인간적인 인격을 회복하고 완성된 인간으로서 달관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life and inner consciousness of Yun, Seon-geo were through the deep study of his travel poetry, by categorizing his travel poetry largely into three different phases such as the form of anguish, revelation of his own free will and the realization of philosophical ripeness according to the written periods of his works and then by shedding light on the importance of his travel poetry in the poet literature.
    First, some of his earlier works in terms of the form of anguish are the travel poetry created for about ten years right after the war called Qing Invasion of Joseon occured in 1636; it can be said that they were figurative expressions of the poet’s self-reflection and willingness to refresh himself, using a metaphor for the scenery features of the nature. As Yun, Seon-geo spent his whole life on studying Taoism as an scholar who did not become a high official and committed himself fostering younger generation, he expressed his deep sentiments and feelings in his poetry for those who led a similar life of his own. In his poems that described Seowon, a lecture hall for Confucianist services, or the gazebos on landscape in honor of the old sages, he wanted to model himself after their integrity, faithfulness, studies and virtuous conduct.
    Second, in the phase of the revelation of his free will, his poems pictured the excitements that he himself felt at the venues of social exchanges with his friends, which played the roles of both pursuit of study and excursion. Through those travel poetry reciting Hwangsan Seowon, Goransa Temple, Donghaksa Temple, and Bokrim-dong in Gyeryongsan Mountain, the way of living and entertainment among the eminent scholars from the Giho regions in the 17th century could be visualized.
    Third, the realization of philosophical ripeness covers the poems written after his trip to the great nature, Geumgangsan and Kwandong area. Through Padonggihaeng, Yun, Seon-geo took a scenic sightseeing which purified his minds, by washing off the dust and dirt in the secularized world and by figuring out the principles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Moreover, he showed his tour pattern with focusing on his own interests, not just simply for the sightseeing purpose and also demonstrated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Taoist, valuing the loyalty and fidelity as a Giho Confucianist and cultivating the great sprit based on his scholarly pursuits.
    The travel poetry of Yun, Seon-geo expresses his psychological changes which vary from the anguish developed as poetic imagery of shame, self-reflection and life orientation, to the revelation of his free will by the scenic excitements and academic activities, even further, to the realization of philosophical ripeness through the pleasant outings in the great nature.
    This study looks into the aims and values in life of the poet Yun, the tour culture in some picturesque nature including the Geumgangsan, study activities and poetry gathering of scholars from Giho regions in the 17th century. Yun, Seon-geo shaped up the philosophical ripeness inside of the human being with the recovering and accomplishing personalities through his poetic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