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음(石陰) 박노술(朴魯述)의 오상편전(五常偏全)설 (Seok-eum Park No-sul’s Osangpyeonjeon(五常偏全) Theor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04
25P 미리보기
석음(石陰) 박노술(朴魯述)의 오상편전(五常偏全)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용봉인문논총 / 64호 / 109 ~ 133페이지
    · 저자명 : 정상엽

    초록

    이 논문은 석음(石陰) 박노술(朴魯述)의 오상편전(五常偏全)설에 대해 논한 것이다. 박노술은 조선 말기의 거유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만년 제자로서 스승의 학문을 계승하고 규명하기 위해 힘썼던 인물이다. 박노술의 성리설 중 스승 기정진의 학설에 대한 계승의 일면을 보여주는 주제는 오상편전설이다. 성리학에서 오상은 본성으로 부여받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말하며, 편전(偏全)은 사람과 사물 사이의 오상의 치우침[偏]과 온전함[全]으로서, 사람과 사물의 차이점을 의미한다. 박노술은 「동오상설(同五常說)」에서 편전의 동이(同異)에 대한 해명을 중심으로 오상편전설을 정리했다. 그는 편전의 발생 원인을 오상 자체에 근거지음으로써 편전에 대해 다름과 같음이 공존하는 것으로 규정했다. 이와 같은 설명은 사람과 사물 사이의 다름의 원인을 리(理)에서 찾는 기정진의 인물성론을 계승한 것이며 동시에 편전의 원인을 기(氣)로 설명하는 기존 호락 양론을 비판한 것이다. 박노술의 「동오상설」의 오상편전에 대한 정리는 그의 스승 기정진에 대한 학계의 비판과 이에 대한 변론을 염두에 둔 것이며, 또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노사 문인 내부적으로 스승 학설에 대한 혼란을 막고 하나의 통일된 표현을 찾으려 한 것이다. 이는 기정진의 학설에 대한 후학들의 계승 내용과, 계승 과정에서 그들의 고민과 해결방식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s Seok-eum Park No-sul’s Osangpyeonjeon(五常偏全) theory. Park No-sul was a disciple during the later years of No-sa Ki Jeong-jin, a prominent Confucianist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o devoted himself to inheriting and clarifying his master’s teachings. In Park No-sul’s Neo-Confucianism theory, his examination of Osangpyeonjeon demonstrates one aspect of how he inherited his teacher’s theories. In Joseon Neo-Confucianism, “osang” refers to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and sincerity, which are innate virtues of human nature, while “pyeonjeon” represents the deviation and integrity of osang between humans and things, and signif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n “Dong-Osangseol(同五常說),” Park No-sul elaborated on the theory of Osangpyeonjeon by focusing on an explanation of sameness and difference within pyeonjeon. He posited the cause of pyeonjeon as being rooted in osang itself, thereby defining pyeonjeon as the coexistence of sameness and difference. This explanation inherits Ki Jeong-jin’s theory on the nature of humans and things, which finds the cause of differences between humans and things in li(理), while simultaneously criticizing the existing theories of Horon and Nakron, which attribute the cause of pyeonjeon to ki(氣). Park No-sul’s explication of Osangpyeonjeon in “Dong-Osangseol” was mindful of the academic criticism of Ki Jeong-jin, as well as responses to such criticism; for this purpose, he sought to prevent internal confusion among No-sa literati regarding his master’s teachings, striving for a unified expression. This reveals how younger disciples inherited Ki Jeong-jin’s theories, as well as how they grappled with their concerns and derived solutions in the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