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랫녘 수륙재(水陸齋)의 변천과정과 설행 (設行) 양상 (The transition history and Aspects of Ritual Performance of Ahraetnyeok Suryukjae(水陸齋))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4.11
28P 미리보기
아랫녘 수륙재(水陸齋)의 변천과정과 설행 (設行)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춤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춤학회誌 / 2권 / 2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민성희

    초록

    본 논문은 중요무형문화재 제127호 아랫녘 수륙재의 변천과정과 설행양상을고찰하였다.
    아랫녘 수륙재는 경상남도 지역 범패의 맥을 이어온 불교의례로 백운사에서설행하는 수륙재를 지칭한다. 아랫녘 수륙재의 기•예능 보유자인 석봉의 법맥을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태고보우(太古普愚),유암혼수(幼庵混修),구곡각운(龜谷覺雲),벽계정심(碧溪 淨心),벽송지암(碧松智巖),부용영관(芙蓉靈觀),청허휴정(晴虛休淨),소요태능(逍遙太能),계월학눌(桂月學訥),호감혜심(濉鑑惠沈),낙운지일(洛雲智리,임한청인(任閑淸印),남파수안(南波秀眼),송악명성(松岳明性),웅파덕민(熊坡德旻, 제자- (성해계수(性海啓守), 해암혜규(海庵惠奎),율암치흡(栗庵致洽),인곡학찬(仁谷學璨)),장유암웅파종문회(長遊庵熊坡宗門會) 설행 재차는 용왕재,방생법회,영청,들보례,외대령,쇄수,삼신이운,송주 후신중대례,각청,각단,권공,축원,영반,재시용상방,관욕,건회소,대례왕공,사자공양,오로청,상단청,중단청,상주권공,축원,법사이운 및 거양,화청,조전점안 및 이운,마귀단권공,소청하위,시식,배송,삼회향,날보례 순으로 진행된다.
    작법무는 나비무,바라무,법고무 등으로 분류하나 아랫녘 수륙재에서는 나비무를 학춤 또는 일반작법무라 한다. 일반작법무에는 다게,삼귀의,운심게,오공양,요잡 작법무로 구성된다. 바라무는 천수,사다라니,명,관욕게,화의재, 요잡 바라무로 구성되며 법고무는 따로 구분되지 않는다.
    아랫녘 수륙재의 설행 양상에서 특이한 점은 재차의 시작부분인 ‘외대령’에있다.외대령의 고혼청 다음에 나오는 내용이〈관욕〉의 ‘출욕참성편’과 ‘가지예성편’에 나오는 내용이며 구성 또한 ‘하단’과 ‘관욕’을 결합한 의례문을 사용한다는점이다. 이는 아랫녘 수륙재가 고혼을 불러 천도하는데 목적이 있음을 나타낸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delivered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history and aspects of ritual performance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127 Ahraetnyeok Suryukjae its change aspects.
    aAhraetnyeok Suryukjaev refers to the Suryukjae of the temple ‘Baegun ’ . This is in one of the Buddhist rituals that originated from Gyeongsangnam-do ’ s Buddhist music, Bumpe. The master of aAhraetnyeok Suryukjae”,Seok-Bong described it as below in his Buddhist heritage, Beopmaek.
    Ancient bow(太古普愚),carcinoid coma(幼庵混修),nine rhymes(龜谷覺 雲),byeokgye jeongsim(碧溪淨心),byeoksong jiam(碧松智巖),bouillon crown(芙蓉靈觀),cheongheo recess(晴虛休淨),takes taeneung(逍遙太能), based selenology press(桂月學酌),crush Hyesim (酷鑑惠沈) camel fingering day(洛雲智曰),which came respondent (任閑淸印) Nampa Suan (南波秀眼),Songak fame(松岳明性),ungpa deokmin(熊坡德旻),disciple - (Xinghai factor(性海啓守),haeam hyegyu(海庵惠奎),yulam chiheup(栗庵致 洽),ingok hakchan(仁谷學璨)),Jiang amung sowing munhoe(長遊庵熊坡宗門 會).
    Procedure of ritual performance starts from Yongwangje, bangsaeng Buddhist, Yeongcheon, than patients, non-colonel, swaesu, Matsu yiun, after careful songju daerye, gakcheong, each stage, gwongong, bless, youngban re-trial above, gwanyok, gun picture elements, daerye wanggong, lion memorial, Oro Agency,Upper Cheung, Cheung stop resident gwongong, bless, Judiciary yiun and geoyang, hwacheong, jojeon topical and yiun, devil ball single issue, appeals sub, tasting, shipping, samhoehyang, day borye.
    Jakbeopmu(Buddhist dance) is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 butterflydance, Bara dance(small symbols dance), and bybgomu(drum dance).
    Ahraetnyeok suryukjae calls the butterfly dance Hakchum (the dance of a crane) or General Jakbeopmu, which is comprised of dage, samgwiui, unsim you, ohkongyang, and yojap jakbeopmu. Bara dance consists in Chunsoo, Sadarani, myung, kwanyorkke, hwayjea, and yojap baramu.
    Bybgomu(drum dance) isn't separately sub-categorized.
    The starting part of ‘Jeacha ’,‘Oidaeryung ’is very interesting in terms of the ritual performance of Ahraetnyeok Suryukjae. The following story of K.o Hon Cheung in Oidaeryung is same as 'choolyokchamseongpyeon ’ and ‘kajiyesungpyeon ’ in <gwanyok>. It also uses ritual door ’ which combines the bottom end and the upper end. This implies that Ahraetnyeok suryukjae is purposed to call K.o Hon and guide them to heav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