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식 교류의 차원에서 본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 연구 ―번역 개념과 번역 정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ranslation Problem of Moder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Knowledge Exchange ─Focusing on translation concept and translation polic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9.05
25P 미리보기
지식 교류의 차원에서 본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 연구 ―번역 개념과 번역 정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57권 / 31 ~ 55페이지
    · 저자명 : 김경남

    초록

    이 글은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의 실상을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번역은 다른 언어의 글을 또 다른 언어로 옮기는 것을 말하며, 지식 유통과 교류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용어가 사용된 것은 조선왕조실록을 근거로 할 때, 15세기 이전부터로 보이며, 한자 표기로 볼 때 ‘飜譯, 翻譯, 繙繹’ 등의 용어가 혼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뿐만 아니라 근대의 번역 범위에는 외국문을 국문(國文)으로 번역하는 것과 한문(漢文)으로 번역하는 것이 모두 포함되었다.
    번역은 의사소통과 지식 유통 차원에서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이 점에서 지식 유통이 활발해진 근대의 경우 각종 번역 문제가 등장하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논의가 등장한다. 다만 이에 대한 해결책은 근대 중국, 일본, 한국의 대응 방식이 다르다. 중국의 1868년 강남 제조총국 번역관 설립, 일본에서 번역과 관련된 문부성의 역할 등과 같이 근대 지식 유통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강했던 데 비해, 한국의 경우 그러한 노력이 충분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1886년 박문국 편찬 『만국정표』, 1893년 오횡묵이 편찬한 『여재촬요』의 범례에 나타난 인지명 번역 원칙 등은 이 시기 등장한 대표적인 번역 문제이자 정책과 관련하여 주목할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근대식 학제 도입과 함께 학부 편찬 교과서 가운데 다수의 번역서가 존재하는 점도 국가 차원의 대응 방식 가운데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at objectively describing the realities of translation problems and translation policies in modern Korea. Translation means translating articles from another language into another language and plays a key role in knowledge circulation and exchange. The use of this term is based on the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 and it appears from before the 15th century, and it appears that the terms 飜譯, 翻譯, 繙繹 seem to have been mixed in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o that, the modern translation scope included translating foreign language into Korean and translating into Korean-style Chinese text(漢文).
    Translation has an important function in communication and knowledge exchange. In this regard, various translation problems arise in the case of the modern age, where knowledge circulation has become active, and policy debates are emerging to solve them. However,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different in modern China, Japan, and Korea.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this is a major phenomenon in relation to the policy and translation issues that emerged at this time, such as the compilation of Park Mun-guk’s(博文局) compilation the MANGUKJEONGPHYO(萬國政表).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translations in the textbooks of translated editions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modern-style school system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national countermeas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