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학교과교육론(Ⅱ) : 哲學의 理念과 老子哲學 (The ideas of philosophy & Lao-tzu's philosop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9.11
23P 미리보기
철학교과교육론(Ⅱ) : 哲學의 理念과 老子哲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12권 / 273 ~ 295페이지
    · 저자명 : 임헌규

    초록

    이 논문은 철학의 학문적 특수성에 특히 주목하면서, 1) 지혜사랑의 이념이 전형적으로 제시되어 있다고 간주되는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를 範型으로 노자철학을 재구성적으로 제시하고, 2) 노자철학에서 나타난 철학의 이념을 확인-案出하여, 3) 철학의 학문적 정체성 및 철학교과교육론 정립에 기여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필자는 우선 지혜사랑으로서 철학은 지식의 소유가 아니라, 지혜에 대한 주체의 태도를 지시하는데, 이는 근원적인 주체의 啓發-정립-실현을 지시하는 화두라고 주장하면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고전적인 철학적 인식은 만물의 존재 근원이자 인식(조명)의 가능근거에 대한 절대적 직관을 의미하며, 따라서 지혜사랑은 완전한 정신을 향한 불완전한 정신의 자기초월적 귀향 편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고 하였다.
    철학의 특수성과 이념을 확인한 다음 필자는 플라톤의 철학이념을 하나의 범형으로 보고 노자철학의 출발점, 철학적 전회와 인식, 그리고 철학의 실현 등을 재구성적으로 제시하였다. 노자철학은 당시 현실에 대한 강한 비판과 우환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는바, 이러한 부조리한 현실을 노자는 非道(不道, 無道, 廢道, 失道)의 상태로 묘사하면서 본래적인 道-德의 회복을 혼란의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노자는 개인의 入道工夫의 요체로서 ‘見素抱樸’과 ‘少私寡欲’, 그리고 ‘虛靜을 통한 자기회복’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노자는 궁극적인 도의 증득으로 철학적 인식을 완성한 聖人의 관점과 경지를 제시하고, 聖人의 책무를 제시하고 있다. 노자의 聖人은 다름 아닌 흙탕물처럼 흐려져 있는 현실 사회를 맑게 蘇生시킬 책무를 지고 있는 민중의 공복이다. 그런데 노자는 성인이 도덕적 정당성을 지니고 백성들로부터 자연스럽게 추대되어 교화(無爲, 好靜, 無事, 無欲)를 행하면, 백성들 또한 도덕적 주체로서 自化, 自正, 自富, 自撲하는, “자율적 주체들이 항상 도덕을 충족시키면서 自由-自然의 삶을 영위하는 공동체를 구성한다”는 낙관적 견해를 갖고 있었다. ‘자발적으로 常足(도덕을 항상 충족시킴)하는 주체들이 自生, 自化, 自由하는 삶들의 공동체’가 바로 철학의 실현으로서 노자의 이상사회의 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s aim is to articulate ideas and methodology of Lao-tzu's philosophy in contrast with plato' western classical philosophy. The ideas and methodology of plato's classical philosophy is manifested on "the similes of cave" in The Republic of Plato. We reconstruct Lao-tzu's philosophy on the based upon "the similes of cave" in The Republic of Plato. 1) Lao-tzu's philosophy begins with criticism of everyday's reality contrary to the Tao. 2) Lao-tzu's philosophy is based upon reverse of everyday's consciousness. 3) Lao-tzu's philosophy request absolute knowledge & practice of the ultimate Tao & Te. 4) Taoistic philosopher enlightenments the people with absolute knowledge of the ultimate Tao. Lao-tzu's philosophy is a typical of classical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