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 100년, 성찰과 전망: 지성사적 관점 (Reflections on 100 Years of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and New Goals for the Future : An Intellectual History Perspective)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09
60P 미리보기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 100년, 성찰과 전망: 지성사적 관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 이론 / 20권 / 3호 / 36 ~ 95페이지
    · 저자명 : 이상길

    초록

    이 시론은 한국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발전 과정과 특성을 지성사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향후의 주요 과제를 제시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지성사적 관점에서 우리는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대한 기존의 역사 서술이 간과해온 세 가지 문제를 새롭게 제기하였다. 첫째, 일제 강점기에 다양한 근대 미디어가 도입되고 관련 산업과 문화가 형성됨에 따라 이를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해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지식 역시 등장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카프의 미디어·문화 비평과 1930년대 잡지 <비판>이 생산한 담론들은 1980년대 이후 나타난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와의 형태론적 유사성에 비추어 주목을 요한다. 둘째, 한국의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사는 서구 연구 경향의 단순한 수입이나 이식이 아닌, 국내 지식 장 행위자들의 적극적인 전유와 혼종화의 산물로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셋째, 1970년대 이후 국내 인문사회학계에 부상한 ‘대중문화 담론’은 커뮤니케이션학 내부에 거시적인 인문사회과학 담론을 유입시키고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발전을 자극하는 의미 있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새로운 논점들을 중심으로 국내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사의 다시 쓰기를 시도한 이후, 우리는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몇 가지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정치경제학과 문화연구의 타성적인 이분법을 지양할 수 있는 통합적 이론과 경험 연구를 적극적으로 활성화해야 한다. 둘째, 1980년대 국내 인문사회과학의 ‘마르크스주의적 전환’ 아래 출현한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가 1990년대의 ‘문화적 전환’에 뒤이어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맞고 있는 ‘물질적 전환’에 인식론과 방법론의 차원에서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비판커뮤니케이션 내부에서 꾸준히 발전해온 ‘성찰적 담론’이 실제 연구 작업에 효과적으로 되먹임될 수 있도록 연구자들의 태도와 제도적 변화가 요구된다. 앞으로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는 현재의 역사적 자본주의 체제 아래서 미디어와 기술이 지니는 존재론적 위상과 정치경제적 효과를 새롭게 이론화하고, 그것을 다른 현상들과의 관계 속에서 경험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대안적 문제 틀을 구축하는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다른 분과학문들과의 지속적인 대화는 물론, 현실의 다양한 과제들과의 구체적인 대면을 통해 한층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from an intellectual history perspective and to suggest major tasks for the future. From an intellectual history perspective, it introduces three key issue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history of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Fir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various modern media were introduced into Korea,and media industries and culture were shaped. At that time, a certain body of knowledge for critically reviewing media in Korea was formed based on Marxis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KAPF’s media-cultural criticism and the discourses produced by the journal Criticism in the 1930s, considering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ies with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that emerged after the 1980s. Second,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should be viewed as a product of active appropriation and hybridization by agents within the national intellectual field, rather than as a simple import or transplantation of Western research trends. Third, since its emergence in the Korean intellectual field in the 1970s, the ‘Mass culture discourse’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ntroducing humanities and sociological discourses into communication studies and in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cr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se three issues, this essay rewrites the history of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and presents three goals for the future. First, we must actively promote holistic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beyond the inertial dichotomy between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studies.’Second, cr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which emerged under the ‘Marxist turn’ in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e 1980s, should respond epistemologically and methodologically to the ‘material turn’ that has emerged since the 2000s, following the ‘cultural turn’ of the 1990s. Third, we need changes in researchers’ attitudes and institutions to ensure that our studies reflect the ‘reflexive discourse’ that has been steadily developing within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In the future,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should re-examine and newly theorize the ontological status and political economic effects of media and technology within the current historical capitalist system. We should build alternative theoretical and empirical frameworks that allow us to explore media and technology in association with other social phenomena. This agenda can be accomplished through ongoing dialogue with other disciplines and addressing various real-world challe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