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응노의 문자추상과 1960년대 한글서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Ungno’s Abstract Letter Paintings and 1960s Hangul Calligraph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6
25P 미리보기
이응노의 문자추상과 1960년대 한글서체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44호 / 159 ~ 183페이지
    · 저자명 : 이장훈

    초록

    李應魯(1904~1989)의 회화 전개에서 1960년대와 1970년대는 유럽의 추상회화를 수용함으로써 현대미술 조류에 합류한 시기였다. 문자추상, 서체추상, 사의적 추상 등 다양한용어로 설명되는 이 시기의 미술은 콜라주, 태피스트리 등 매체에서도 혁신적인 변화를 가졌던 가장 전위적인 시기였다고 평가받는다. 이응노는 ‘추상’의 개념을 대상의 재현에서 멀어지는 데 방점을 두었던 서양과 달리 사전적 개념인 ‘형상을 추출하다’로 인식한 것으로생각된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이응노는 추상의 근원을 자연에서 찾게 되었고, 이에 도달하는 수단으로써 서예를 끌어들이는 새로운 회화론을 정립했다.
    이응노는 한자가 지닌 상형성에 우선 주목하여 商周代의 金文이나 鳥蟲書를 회화제작에응용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한자를 획과 점으로 해체하여 추상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자연에서 추상으로, 다시 추상에서 자연으로 서로 통하는 작품을 목표로 한 것이다. 이를종합하면 이응노의 문자추상 제작 단계는 ‘자연 → 문자 → 해체 → 구성 → 추상’이라 할수 있다.
    그리고 한자와 달리 상형문자는 아니지만 점과 획의 가장 기본 형태만으로 다양한 문자와 의미를 창출하는 한글 서체에 주목하였다. 이응노는 유럽에 건너가기 전부터 조선서화동연회와 같은 단체 활동과 개인적인 관계 속에서 서예가들과 지속적으로 교유해왔기 때문에 당시 서예경향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특히 1960년대부터 金忠顯 (1921~2006)이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한글 古體는 이응노의 문자추상 제작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훈민정음해례본』 등 고판본 자형에 전서와 예서의 필획을 가미한 한글 古體는 추상의근원을 자연과 고전 서체에 있다고 여긴 이응노가 주목할 만한 서단의 최신 경향이었을 것이다. 이응노가 동백림 간첩단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출소한 1969년 이후 제작한 문자추상을 보면 한글 고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 자음과 모음, 그리고 획의 형태가 두드러진 점이 이를 잘 보여준다.
    이응노의 1960년대 문자추상은 앵포르멜 혹은 추상표현주의의 영향을 받아 점과 획이화면 전체 구성에 종사하는 조형 요소로만 기능하는 반면에, 1970년대 문자추상은 문자에서 비롯된 점과 획이 각기 독립성을 갖고 화면에 등장하였다. 따라서 1960년대 문자추상은충동적이고 비정형성의 화면을 특징으로 하고, 1970년대는 읽을 수는 없지만 문자로 보이는 요소들이 독립적으로 드러난 화면을 갖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응노의 추상회화에 대한 인식 속에서 문자가 회화 제작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결과 해체성을 특징으로 하는 추상회화의 범주에서 동아시아의 서화가 출신으로서 문자의 해체를 자신의 조형 언어로 택한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이응노가 ‘컴포지션(composition)’이라고 명명했듯이 구성이라는 과정을 제작과정에 추가함으로써 자신만의 추상회화를 완성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Within the trajectory of Lee Ungno’s(1904~1989) painting, the 1960s and 1970s were a period during which he embraced European abstract painting and thereby joined the contemporary art movement. Having found the core of his abstract focus in nature, Lee Ungno drew on calligraphy as a means of arriving at these roots, and in so doing, established a new theory of painting.
    The classical style Hangul calligraphy that Kim Chunghyeon(1921~2006) began to develop in earnest from the 1960s appears to have shaped the creation of Lee Ungno’s abstract letter paintings. We see clear signs of such influence in the artist’s abstract letter paintings from 1969 onward, thanks to a prominence of consonants, vowels, and strokes which seem to derive from classical style Hangul calligraphy.
    Due to the impact of the Art Informel movement and abstract expressionism, the dots and strokes in Lee Ungno’s abstract letter paintings of the 1960s merely functioned as formative elements dedicated to the composition of the canvas as a whole. His abstract letter paintings of the 1970s, on the other hand, use dots and strokes as offshoots of actual letters and present each on canvas as independent entities.
    The following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se letters were applied to the creation of Lee Ungno’s work in connection to his understanding of abstract painting. It finds that Lee Ungno—as an East Asian literary painter, working within the field of abstract painting and its emphasis on deconstruction—chose the deconstruction of letters as his formative language. Furthermore, it takes into careful consideration Lee Ungno’s designation of ‘composition’ as part of his process and views the addition of this stage to have enabled the artist to achieve his own distinctive rendition of abstract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