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김수영과 김춘수 시의 헤테로토피아 (Heterotopia Revealed in Poems by Kim Soo-Young and Kim Chun-Soo in the 1950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8
36P 미리보기
1950년대 김수영과 김춘수 시의 헤테로토피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91호 / 451 ~ 486페이지
    · 저자명 : 김지율

    초록

    이 연구에서는 1950년대 김수영과 김춘수 시에 드러나는 공간과 현실에 대한 인식을 헤테로토피아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등단 시기뿐 아니라 감옥이나 수용소 생활을 동시에 겪은 두 시인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들이 이질적이고 반(反)배치의 장소인 헤테로토피아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김수영 시의 포로수용소와 도서관 그리고 거리와 같은 규율화된 공간이나 현실의 다성적 표상의 헤테로토피아는 비판과 대안의 여지를 함축하고 있다. 이에 반해 김춘수는 일본 세다가야서(署)에서의 감옥 생활과 전후 고향과 같은 근원 상실의 장소들은 자연 회귀로서의 신화와 원형적 상상을 통해 잃어버린 세계에 대한 실존적 성찰들을 보여주고 있다.
    두 시인의 시에 드러나는 헤테로토피아는 각각 현재와 과거의 시간과 관계되는 부정과 원형의 장소이다. 그것은 개인들의 윤리적 실존을 위협했던 역사와 전후 폐허의 현실에서 시적 자아의 불안이나 공포를 극복하기 위함이었다. 나아가 이것은 동시대에 겪었던 경험적 현실을 병치시킴으로써 인간의 가치와 생명을 위협하는 근대의 부조리함에 대한 비판적 성찰인 것이다. 따라서 이질적인 탈장소로서의 헤테로토피아는 두 시인의 시에 드러나는 불가해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oetic sensitivity of the space revealed in poems by Kim Soo-Young and Kim Chun-Soo in the 1950s through heterotopia. Critical reflections on the history and reality of the two poets who not only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but also went through both prison and prison life at the same time are evident in heterotopia.
    Heterotopia revealed in poems by Kim Soo-Young as the prison camp, the library, and the city streets under modern planning carries out the meaning of denial to the social life of fatigue or despair of urban life. On the other hand, Kim Chun-soo's absence consciousness by prison life in Sedagayashi, Japan, and the absence consciousness due to the loss of hometown after the war show the appearance of a original form of heterotopia, such as a childhood hometown or a mythical space as a return to nature.
    The two different heterotopias that are revealed in poems by the two poets were a space of resistance and opposition to overcome the history of threatening the true ethical existence of individuals and the fear or anxiety of the empirical self in the reality of postwar ruins. Furthermore, they are critical reflections on the absurdity of modern times that threat human values and life by juxtaposing the experiential reality that people have experienced in the same period. Heterotopia as a heterogeneous place will be a new research method to approach the incomprehensibility revealed in the poems by the two poe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