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개인담론의 대두와 반공극의 위상 (Introduction of individual discussions and status of anticommunism plays in the 1950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12
31P 미리보기
1950년대 개인담론의 대두와 반공극의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42호 / 187 ~ 217페이지
    · 저자명 : 오영미

    초록

    본고는 한국 반공주의가 자유나 개인의 이념이면서도 ‘냉전’의 그늘에서 ‘변화’를 수용하기 어려운 50년대적인 모순상황에 주목하고자 한다. 나아가 개인담론과 같은 사회전반의 변화 요인들이 반공극의 창작 지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일제강점기의 카프계열이 그러했고, 목적문학의 언저리가 대체로 유사한 현상들로 비판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1950년대의 반공극 창작을 진단함에 있어서는 대중문화와 사회인식에 급격하게 몰아닥친 변화요인으로서 개인담론의 문제를 전제해야 한다는 것이 본 논지의 핵심이다. 여기서 개인 담론이라 함은 50년대 사회전반에 변화를 몰고 온 모든 새로운 것이라는 범주의 매우 포괄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50년대의 반공극은 이처럼 이데올로기에 대하여 깊이 있는 천착이 선행되지 못한 결과로 그동안의 연구자들이 평가하였던 멜로드라마성에의 경도, 경직된 이념과 양극화된 인물설정, 상투적으로 반복되는 패턴 등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반공극의 작가들은 반공이데올로기에 대하여 전쟁 체험으로 인한 감성적인 접근만을 보여주며, 해방직후부터 이미 고식화된 공산주의에 대한 적대의식이 연장되고 심화되는 계기로서 6.25를 접했을 뿐이었다. 또한 전쟁 전부터 주창돼 온 민족주의가 변화한 자리에 반공이 놓임으로 해서 누구도 이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사상적 체계화 이전에 국민으로서의 건전성을 점검하는 검열 기제로 작용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작가들이 국시화 된 반공에 대하여 표본으로 삼을 만한 이념 모델을 갖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목적극에 대한 부담감 역시 50년대에 반공극이 제대로 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는 원인으로 지적될 수 있겠다. 50년대에 두드러지는 공적 담론이나 계몽성의 약화, 이로 인한 개인 담론의 대두는 대중성의 문제를 부각시켜 문화계 전반에 변화를 불러오고, 반공극의 창작 방식으로 가장 인기가 있었던 멜로드라마 형식도 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반공극이 목적극이기 때문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파악하던 여러 가지 문제적 현상의 이면에, 50년대적인 변화의 양상을 주된 원인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tradictory situation in the 1950s when ‘change’ could hardly be accepted under the ‘Cold War’ although Korean anticommunism is an ideology of freedom and individualism. Furthermore, social change factors such as individual discussions are discussed assuming that the factors had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anticommunism plays.
    The point of this paper is that individual discussions are the main cause of dynamic change of social recognition and pop culture when it comes to diagnosis of creation of anticommunism plays in the 1950s while KAPF in Colonial Choson and purposed literature are criticized because of the similar phenomenon. Individual discussions here are comprehensive because they are defined as all new things which created social changes in the 1950s.
    Anticommunism plays in the 1950s have many problems analysts have inspected such as light-mindedness of melodrama, rigid ideology, polarized characters, plain and repetitive pattern and so forth, which have been caused by the lack of study on the ideology. Playwrights of anticommunism plays just shows an emotional aspects through war experiences regarding anticommunism, 6.25 has been considered as the trigger to deepen the antagonism to anticommunism which had consisted since independence. In addition, no one could be free from this matter because anticommunism had replaced nationalism which had been insisted from before war, and it acted as a censor criterion of the public integrity in advance of systematizing of ideology. This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at the playwrights have no ideology model of national anticommunism.
    Stress of purposed plays can also be considered as a cause of poor performance of anticommunism plays in the 1950s. Public discussions, weakened enlightenment and introduction of individual discussion induced changes in the cultural field presenting public matters, and the type of the most popular melodrama for their story type of anticommunism plays is involved with it. On the other side of various problems of anticommunism plays inevitably created as they are purposed plays, this paper will study the changes in the 1950s as the main ca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