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태상대종사(少太山大宗師)의 정기훈련 중 법문(法門) 연구 -1936년 하선에서 1940년 동선까지의 『선원일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harma Words of Founding Master Sot’aesan during Fixed Term Training - Focused on Meditation Center Diary(禪院日誌) from Summer Retreat of 1936 to Winter Retreat of 1940 -)

8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9.02
87P 미리보기
소태상대종사(少太山大宗師)의 정기훈련 중 법문(法門) 연구 -1936년 하선에서 1940년 동선까지의 『선원일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1호 / 135 ~ 221페이지
    · 저자명 : 양은용

    초록

    원불교에 있어서 정기훈련제도는 1926년 하선(夏禪)에서부터 시작된다. 1924년 창립총회후 익산총부를 건설하고, 1925년 정기훈련법과 상시훈련법을 제정하고 이에 의해 시작한 것이다. 이는 수행체계를 확립함과 동시에 선원(禪員)․임원․학원을 배출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교단의 급선무였던 것으로 보인다. 하선은 음력 5월 6일에서 8월 6일까지, 동선은 음력 12월 6일에서 이듬해 3월 6일까지 하․동 각각 3개월 기간이며, 재가․출가가 함께 참여하고 있다.
    하선․동선에는 1938년부터 지방교무강습이 병설되었으며 그것이 오늘날 교무훈련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하선․동선제도는 1950년을 기점으로 시행되지 않으며, 각 지방교당에서 행하던 그것은 교리강습회로 성격이 굳어지고 있다. 또한 선원과 함께 1937년에 이루어진 학원(學院)은 1946년 유일학림의 개원, 1951년 원광대학의 인가 등 정규교육기관으로 발전하고 있다.
    정기훈련기간인 하 동선에는 교단 간부가 선원(禪院)에 교감 교무 서기 등으로 파견되었고, 『선원일지』를 작성하고 있다. 그것은 소태산대종사(박중빈, 1891-1943)의 법문 채록과 의견안 수렴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대종사 재세시 기록으로 1936년 하선에서 1940년 동선까지 13권이 남아 있다. 이 가운데 대종사 법문은 전후 161편에 이르는데, 법문을 베푼 사항만 나타나기도 하고, 구체적인 내용이 기록되기도 한다.
    대종사 언행록인 『대종경』의 수록법문 가운데 선원에서 행한 법문은 31편이며, 박창기 수필의 『법설집』에는 72편에 이른다. 그런데 『선원일지』와 대조해 보니 『법설집』의 법문 가운데 대부분이 선원에서 행한 것으로 드러난다. 『선원일지』의 법문은 설해진 시기가 분명하므로 교단제도의 흐름, 교리형성의 과정, 신앙과 수행, 그리고 관련 인물 등의 구체적인 상황이 밝혀진다. 앞으로 『선원일지』『법설집』 등을 대비해 보면 대종사 법문의 상황성이 드러나며, 이는 『대종경』 수록법문을 해석하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Fixed term training system of Won-Buddhism begins at summer retreat of 1926. After general assembly of foundation and construction of Headquarters in Iksan at 1924, on 1925 rules of fixed term training and daily training had been established, and began with it. It undertook the functions of establishment of disciplinary system and production of meditator, officer and practitioner, so that seems to be the most urgent task. Summer retreat was from 6th May to 6th August by the lunar calendar, and winter retreat was from 6th December to 6th March of next year by the lunar calendar. Both are three months each and participated by both lay devotees and renounced ministers.
    From 1938 local minister training had been established with summer and winter retreats, and it is connected to minister training of today. Summer and winter retreats system was no longer carried out from 1950, and that conducted by every local temple fixed as tenet studying. Also, academic center which established together with meditation center at 1937 developed as regular educational organization, open of an institute, Yuil Hakrim at 1946 and approval of Wonkwang University at 1951.
    During summer and winter retreat, the fixed term training, high officials of the order had been dispatched as head minister, minister, clerk and so on, and they recorded Meditation Center Diary. It was purposed to record the dharma words of Founding Master Sot’aesan(Park Chung-Bin, 1891-1943) and to collect opinions. While the life time of Founding Master, records were remained in 13 volumes from summer retreat of 1936 to winter retreat of 1940. Among them, his dharma words are 161 pieces, and those recorded in detail or only fact of delivery.
    Among dharma words in the Scripture of Founding Master(大宗經), 31 pieces had delivered at meditation center, and 72 pieces ar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Dharma Words(法說集) hand written by Park Chang-Ki. Comparing with Meditation Center Diary, it is noticed that most of dharma words in the Collection of Dharma Words had been delivered at meditation center. The dharma words in Meditation Center Diary recorded date of delivery clearly. Therefore, specific circumstances were clarified, such as flow of system of the order, course of establishment of tenet, faith and practice, concerned person and so on. Further comparing Meditation Center Diary and the Collection of Dharma Words will illuminate the circumstantial condition of dharma words of Founding Master, and will be valuable resources to analyze dharma words in the Scripture of Founding Mas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