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76년 ‘개항’의 개념적 의미와 역사적 성격 (The Conceptual Meaning and Historical Character of ‘Open Port’ in 1876)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2
40P 미리보기
1876년 ‘개항’의 개념적 의미와 역사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 수록지 정보 : 항도부산 / 39호 / 241 ~ 280페이지
    · 저자명 : 전성현

    초록

    개항이라는 용어는 1876년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조일수호조규, 이른바 강화도조약 체결과정에 비로소 사용된 새로운 용어였다. 그렇다면, 이 용어가 지닌 개념적 의미는 무엇일까? 이를 위해 개념사 연구방법론 가운데 하나인 ‘의미장’ 분석을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의미장 분석에 의하면, 개항은 만국공법에 기초한 조약에 의해 이루어졌다. 또한 자유로운 통상, 거주, 통행이 가능한 공간과 그에 따른 외교공간의 출현이 가능한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의미는 1876년 개항을 통해 일부 관철되기도 하고 그렇지 못한 것은 뒤늦게 이루어지기도 했다. 그 의미는 개항의 개념 속에 지속되었던 것이다.
    한편, 1876년 조선의 개항을 둘러싼 조일 간의 조규 체결과정을 살펴보면, 개항의 역사적 성격도 확인할 수 있다. 개항을 규정한 조규 등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이 일본에 의해 요구되었지만 강제적으로 체결되었다거나, 일본의 힘의 우위 속에서 조선에 불평등하게 체결된 것은 아니었다. 조선 측은 이미 그리고 어느 정도 일본의 요구와 의도를 간파하고 있었다. 그에 대한 대비가 완벽하지 않았더라도 가능한 한 조선에 유리한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결과적으로 개항을 규정한 조일수호조규와 그 부속 문서들에서는 일본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하지도 조선에게 일방적으로 불리하지도 않았다. 조선의 개항, 즉 부산의 개항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그렇다면 현재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개항을 1407년으로 올려봐야 한다는 주장은 그 의미와 성격에서 역사에 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407년 개항설의 첫 번째 근거가 개항 개념의 일반화와 탈시간성이며, 두 번째 근거가 1876년 개항의 강제성과 불평등성이기 때문이다. 다시 강조한다면, ‘개항’은 일반적 개념이 아니라 근대적 개념이며 그 의미도 만국공법에 기반을 둔 것이기 때문에 전근대의 역사적 상황을 일컫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1876년 개항의 성격을 강제성과 불평등성에 두는 것도 단편적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의 입장에서 1876년 개항은 일본의 요구이긴 하지만 최대한 자국의 이해를 보장하려고 하는 움직임 속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term ‘open port’ was not used before 1876. In other words, the term open port is ‘modern language’. Then, what is the historical meaning based on the conceptual meaning of this term?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semantic fields', one of the research methodology of conceptual history. In this way, the open port was made by a treaty based on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萬國公法). Also, it can be said that it has historical meaning that free space of trade, residence, and passage and the appearance of diplomatic space accordingly. Of course, this meaning was partly achieved through the open port in 1876, but the rest was not so and it was done over time. However, such meaning continued in the conceptual meaning of the open port.
    In addition, the treaty concluded in the period around 1876 was not by Japanese forced force or by unequal conclusion to Joseon, as it has been known so far. The Joseon side had already been aware of Japan's intentions to some extent. Even if there was not enough preparation for him, he responded as actively as possible. Therefore, in the process of signing the treaty surrounding the open port, we tried to ensure our own equality by responding to the unilateral interests of Japan as much as we prepared. The open port was done in the same way.
    If so, the claim of '1407 Opening Port', which is currently being raised in some parts, is because it misunderstood the conceptual meaning of the opening port and the nature of the opening port in 1876. Again, ‘open port’ is a modern language and its meaning is also based on international law, so it can not be used as a concept referring to the historical situation of premodern times. In addition, the open port in 1876 can not define the personality only in the negative aspect of coercion and inequality. Rather, it can be said that there was a strong movement to guarantee independence and equality from the standpoint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항도부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