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성종 8년 친잠례의 시행과 그 의미 (Queen's Chinjamrye' enforcement and its meaning at 1477 year(Seungjong 8))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2.05
30P 미리보기
조선 성종 8년 친잠례의 시행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여성연구 / 51권 / 1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한희숙

    초록

    본 논문은 성종 8년(1477)에 처음으로 시행된 왕비의 친잠례 논의와 정비과정, 시행절차,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성종은 친잠례에 큰 관심을 가졌다. 그는 수렴청정을 하던 정희왕후로부터 정권을 移讓받고 親政에 들어간 7년 8월에 친잠례를 거행하기로 하고 親蠶儀制를 조사시키는 등 치밀한 준비를 하였다. 그리고 성종 8년 윤 2월 친잠례는 송나라 제도에 따라 시행하되, 여집사관의 이름은 조선의 관제를 따르게 하였다. 이어 3월 3일부터 창덕궁 후원에 採桑壇을 만들기 시작하여 3월 14일에 역사상 처음으로 친잠례가 행하여졌다. 친잠례의 본격적인 시행은 3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친잠 전날에는 액정서에서 유악을 채상단 밖에 설치하였다. 3월 14일에는 왕비와 내외명부, 궁녀들이 각자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하는 친잠례를 시행하였다. 이날 왕비는 鞠衣를 입고 首飾을 더하여 채상단으로 거둥한 뒤 뽕 5가지를 따고, 내외명부 1품은 각각 7가지를, 내외명부 2,3품은 각각 9가지를 채취하였다. 이날 친잠례에 참석한 사람은 왕비와 내명부 4명, 외명부 10명 이상, 궁녀 10명 등 대략 30명 정도였다. 친잠례 거행 시 왕비는 채상 의식만 거행했으며, 누에에게 뽕잎을 먹이는 의식은 내명부가 거행하였다. 잠실에서의 의식이 끝나면 친잠례는 끝나며, 끝난 뒤에는 왕비가 하사품을 내렸다. 이튿날에도 연회를 베풀었다.
    성종 8년에 이루어진 친잠례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조선시대 최초로 시행된 것으로 왕실의 권위 상향과 왕권 강화를 의미하였다. 둘째, 왕비가 백성들에게 양잠을 권장하는 모범을 보여 그들의 삶이 윤택해지기를 바라는 위민관이 반영되었다. 셋째, 조선 초기 유교적 문물제도가 완성되어 갔음을 의미하는 것이자, 거행의식과 음악, 복식, 의장물 등 당대의 문화적인 유산이 종합된 여성문화행사이다. 넷째, 남성 중심적인 사회에서 왕이 아닌 왕비, 남성이 아닌 여성이 주관자가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성종 8년의 친잠례는 성종의 의도와는 달리 왕비 윤씨의 폐비사건이 발생하는 시발점이 되었다. 친잠례는 왕실 여성들의 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의도에서 시행되었지만 참석 구성원의 성격상 다른 의례보다 잘 시행되지 못한 한계를 가진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bout enforcement, preparing process and meaning of the Queen's Chinjamrye which was first conducted. Seungjong was much concerned with Chinjamrye. After Seungjong took over the reins of government from Jeunghee Queen, he made performed Chinjamrye, investigated ceremonies, and prepared carefully while he was reigning at Seungjong 7 year August. At Seungjong 8 year February, Chinjamrye was enforced as a Song dynasty system, but name of female steward was made as a government post system.
    Chinjamrye was first held on March 14th historically at back yard of Changduk place, after Cheisangdan continuously was made at March 3rd. It was performed for 3 days. The tent was established at outside of Cheisangdan at the day before Chinjamrye. On March 14th a Queen, Nemyungbu, Oimyungbu, and maid of honors were carrying out as a duty. On that day a queen weared Kukei with more hairdressing, and went to Cheisangdan, picked 5 mulberry branches, Nemyungbu and Oimyungbu 1 Pum picked 7 branches, and Nemyungbu and Oimyungbu Pum did 9. There were 30 attendants including a Queen. This time a Queen acted upon only picking leaves, and Nemyungbu feed silkworms leaves. After finished that ceremony, a queen awarded prizes to honors and gave a banquet to the attendants.
    There are many meanings when Chinjamrye was enforced at Seungjong 8 year as a follows: First, it means authority upward and regal power of the royal family.
    Second, a queen encouraged her subjects sericulture therefore she wants their life wealthy. Third, it means confucian, culture and institutions, were completing early in the Chosun era as well as music, dressers, and etc. were cultural assets of feminine culture event. Finally, it is very important meanings that a queen and female becomes the main leader as a not male and a King.
    However, Chinjamrye intends to establish order of royal female family, it limits that Chinjamrye was not successfully done as a other ceremony because of constituent members of the attend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