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초반 잡지에 나타난 여성/청춘 표상 (Symbols of Femaile/Youthpresented in the magazines in the early 1960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6.12
30P 미리보기
1960년대 초반 잡지에 나타난 여성/청춘 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16호 / 211 ~ 240페이지
    · 저자명 : 임지연

    초록

    본고는 1960년대 초반 『사상계』와 『여원』 두 잡지에서 구성되는 새세대론과 청춘담론이 변화․분화․생성되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당대 구성된 청춘 여성 담론은 자율적인 것이 아니라, 주류 세대담론에서 젠더화와 계층화의 구도를 통해 배제와 분화, 생성의 방식을 취하며 구성되었다. 담론은 무엇을 구성하는 가가 아니라, 어떻게 구성되어지는가가 문제라면 두 잡지의 분화양상의 움직이는 구도를 살펴보는 일은 중요하다.
    『사상계』에서 구성되는 새세대론은 4.19직후와 5.16이후로 구분된다. 4.19 직후 새세대는 순수, 맑음, 저항의 전향적 표상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5.16직후 새세대는 혼란, 충동, 불안으로 변화된다. 새세대의 감성은 불안의 측면에서 다루어지는데, 『사상계』는 실업난과 관련된 경제적 문제와 관련된다. 반면 『여원』에서는 불안의 감수성에 극단적으로 참여한다. 여성의 기본 조건은 불안 그 자체이며, 이 시기 청춘 여성이 존재하는 방식은 여성적 불안에 있었다. 『여원』에서 구성된 청춘 여성은 주류 세대론에서 배제되면서 불안의 존재조건을 형성하며 새로운 국가건설의 결핍의 주체로 호명되고 있다.
    새세대는 젊은 신체에 관심을 갖는다. 『사상계』에서 성문제는 부분적으로 다루어지는데, 결혼전 성행위와 같은 성적 장치는 중산층이 아닌 청년과 젊은 여성은 배제되고 청년 대학생만이 허용된다. 젠더화와 계층화에 의해 동시적으로 분할된다. 『여원』에서 신체는 보다 섬세하고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신체 그 자체에 대한 관심이 강화된다. 신체적 아름다움에 대한 카니발적 관심은 지성미와 관련될 때만 의미를 갖는다. 세대론에서 배제되면서 구성된 청춘으로서의 신체는 공적인 것(지성적인 것)을 재포획하려는 은밀한 욕망을 드러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how the discourses on New generation as well as on Youth, presented in two representative magazines in the early-1960s, The Sa-sang-ge and The Yeo-won, had been changed, diverged and created. In particular, the way of the composition of Female-Youth discourse was never autonomous in that it was related to be excluded, diverged, and recreated by the gendering and the staging under the major discourse on the Generation. It deserves careful attention to examine the moving framework of diverging aspects of both magazines because the significant issue on discourse is not what it composed of, but how it is composed.
    The theory of New Generation in The Sa-sang-ge was bisected shortly after the Revolution of April, 19 and after the Military Change of Government of May, 16. In other words, the former generation symbolized purity, clarity, and resistance. The latter generation, however, was transformed into disorder, impulse, and anxiety. The sensitivity of new generation was touched on primarily with regard of anxiety. On the other hand, The Yeo-won dealt with the sensitivity of anxiety by participating in it more radically. Namely,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female was anxiety per se, so the existence of female youth in this period lay in the female anxiety. The female youth, had been consisted of in The Yeo-won, was called as the subject of deficiency in the field of the establishment of new nation by being eliminated from the major theory of Generation and forming the existence of anxiety.
    The new generation took much interest in the young body. The Sa-sang-ge treated sexuality partially, for instance, the sexual mechanism like the sexual behavior before marriage was restricted on the young university students by excluding both the female youth and the youth without belonging to the middle class. This shows that sexuality was also divided simultaneously by means of the gendering and the staging. The Yeo-won treated body more delicately and diversely and focused on the interest in body per se. The carnival-like interests in the bodily beauty acquire significance within the limit of the beauty of intellect. The body as youth, made by being excluded from the theory of Generation, reveals the hidden desire which attempts to recapture the public, or the intell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