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5년 ‘處遇感謝運動’과 ‘大和同盟’의 실태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ovement to Thank for the Improvement of the Treatment(處遇感謝運動)’ and ‘The Dae-Wha Alliance(大和同盟)’ in 1945)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9.12
46P 미리보기
1945년 ‘處遇感謝運動’과 ‘大和同盟’의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1호 / 291 ~ 336페이지
    · 저자명 : 지승준

    초록

    태평양전쟁 말기 일본정부는 조선을 비롯한 식민지에 참정권을 부여하는 법령을 공포했다. 조선에 대한 참정권 부여는 징병제 시행의 반대급부이자 당면한 전쟁에 식민지인을 동원하기 위한 방편이었고, 차별적ㆍ제한적인 내용이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총독부는 친일파에게 ‘처우감사운동’과 ‘대화동맹’을 조직하도록 주문했다. 이들은 주로 중추원 참의ㆍ고문, 지방의회 의원 등 참정권에 민감한 집단이었고, 약 70% 정도는 조선총독부의 최대 외곽단체인 ‘國民總力朝鮮聯盟’의 간부급에 해당했다. 직업별로는 관료와 재계 인물, 변호사ㆍ의사 등 새로운 선거법의 유권자이자 입후보자가 될 사회 유력층이 다수를 점했다.
    양 운동에는 1920년대부터 일관되게 ‘참정권청원운동’을 전개해 온 ‘國民協會’와 ‘甲子俱樂部’ 계열 인물들이 참여했다. 그들은 일본정부가 취한 일련의 조치로 다년간의 숙원이 실현될 것이라고 생각했고, 따라서 처우개선의 범위와 종류에 관한 일체의 정치적 요구를 배제하고 오로지 ‘감사’와 ‘협력’의 태도로 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조선인 참가자들은 일본정부의 조치에 대해 ‘內鮮一體의 진전’으로 평가했고, 징병제의 시행, 의무교육의 실시 예고와 더불어 內鮮同化의 결실로 간주했다. 그리고 조선에 부여된 참정권이 ‘과도기적 미흡과 제약’은 있으나, ‘皇民 資質’의 향상과 전쟁 협력으로 그 문호가 점점 확대되기를 기대했다. 이러한 인식은 「한국병합에 관한 詔書」와 「조선총독부 관제개혁조서」의 이른바 ‘一視同仁’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이는 과거 ‘국민협회’가 일본 정부에 참정권을 요구했던 논거와 일치한다.
    친일파는 ‘대화동맹’을 통해 전시 협력에 노력했는데, 이로써 자신들이 바라던 국정참여의 권리와 조선 대중의 전쟁동원을 맞바꾸게 된 결과를 초래했다.

    영어초록

    At the closing stage of the Pacific War, the Japanese government promulgated the regulations to give the franchise to the people in colonies, including Chosun. The content of the franchise which was given to Chosun was discriminative and limited in that the grant of it was a compensation for the draft system, and it was adopted to mobilize the people in colonies for the immediate war.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required the pro-Japanese group to organize ‘The Movement to Thank for the Improvement of the Treatment(處遇感謝運動)’ and ‘The Dae-Wha Alliance(大和同盟)’. They were mainly the members or advisers of the advisory committee of governor-general(中樞院), the local assembly and sensitive to the franchise. About 70% of them were persons in executive positions of ‘The National All-out League Of Chosun(國民總力朝鮮聯盟)’, the largest auxiliary orga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The bureaucrats, the capitalists, lawyers and doctors had a large number of them when classified with the occupation and they were the upper classes to have the right to vote and become candidates by new election law.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ociation(國民協會)’ and ‘The Kap-Ja Club(甲子俱樂部)’ who consistently had developed ‘the suffrage-petition movement’ from the 1920s joined in both movements. They thought that a series of measures of Japanese government would make their long cherished desire come true. for this reason, they could develope movement by exclusive attitude ‘to thank’ and ‘to collaborate’ without mentioning ‘the political requirements’ about ‘the extent and the kinds of the improvement of the treatment’ at all.
    The participants in Chosun evaluated the measures of Japanese government as a progress of ‘the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內鮮一體) and regarded it as a fruition of ‘the assimilation of Japan and Chosun’(內鮮同化), including the enforcement of the draft system and the notice of the compulsory education. They also expected that they could open the door more broadly with the improvement of ‘the nature of the imperial subject’(皇民資質) and the war-time cooperation, although the franchise which was given to Chosun had ‘the limitation and the insufficiency of the transitional period.’ Their understandings were based on the so-called ‘impartial treatment(一視同仁)’ extracted from ‘The Royal Edict on Annexation of Chosun’ and ‘The Royal Edict on Reform of Official Regulation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On the same grounds, ‘the National Association’ had petitioned Japanese government for the franchise from the 1920s.
    The pro-Japanese group made efforts to collaborate with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during the war-time by organizing ‘The Dae-Wha Alliance’ and they caused the result of exchanging the war mobilization of the people in Chosun with the franchise which they des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