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50년대 한글 서예의 한글 인장 사용 연구 (Hangeul seal-engraving art by the year of 1920-195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2.09
33P 미리보기
1920-50년대 한글 서예의 한글 인장 사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21호 / 255 ~ 287페이지
    · 저자명 : 이인숙

    초록

    한글 인장예술은 한글이 國文으로 사용되고, 서예의 한 분야로 자림 매김 된 이후 새롭게 성립된 분야이다. 한국서예사에서 한글 서예와 한글 인장예술은 매우 중요함에도 아직 연구가 미흡하다. 이러한 인식 아래 1920-1950년대 한글 서예에서 한글 인장이 사용된 상황을 한글 인장예술의 초기 양상으로서 살펴보았다. 한글의 서예 작품화는 1920-1930년대 翰西 南宮檍(1863-1939)과 師候堂 尹伯榮(1888-1986)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이들은 한문 인장으로 낙관하였으며, 조선미술전람회 한글 서예 입상작에서도 한글 인장을 찾아 볼 수 없었다. 1930년대까지는 한글 서예에도 한문 인장으로 낙관하여 한글 인장이 사용되지 않았던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시대적 상황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본고에서 살펴 본 바 한글 인장이 사용된 한글 서예의 현전하는 가장 이른 예는 1942년 작인 一中 金忠顯(1921-2006)의 <時調十疊>이다. 김충현은 1940년대 초 선구적으로 한글 서예에 한글 인장을 사용하였고, 1940-1950년대에 여러 벌의 한글 인장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김충현이 사용한 한글 인장은 대부분 동생인 如初 金膺顯(1927-2007)이 새겼다. 김응현은 서예가, 전각가로서 한글 인장을 직접 새겨 사용한 최초의 작가로 주목되며, 확인되는 이른 용례는 20세 때인 1946년 작 <訓戒子孫歌>이다. 김응현은 한글 인장예술을 개척한 선구적 전각가로서 한글이 주조된 조선시대 별전을 응용한 葉錢形印 <효뎨례의>(인31)로서 한글 閑章에 있어서 하나의 전형을 창출하였다. 갈물 李喆卿(1914-1989)은 1947년 작 <고시조>에서 한글 풀어쓰기로 된 인장을 사용하였고, 동생 꽃뜰 李美卿(1918-)도 이와 유사한 한글 인장을 사용하였다. 이들이 1940-1950년대에 사용한 한글 인장은 딸들에게 한글 호를 지어주고 궁체를 학습하게 한 한글학자인 아버지 也自 李萬珪(1889-1978)의 안목에서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20세기 전반기에 활동한 많은 전각가들 중 한글을 새긴 전각가는 葦滄 吳世昌(1864-1953), 雲如 金廣業(1906-1976), 鐵農 李基雨(1921-1993), 김응현 등에 불과하다. 오세창의 한글 인장 <오세창>, <뮤뮤>는 그가 사망한 1953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뮤뮤’는 뜻을 알기 어렵다. 필자는 ‘穆穆’의 중국어 발음 ‘mùmù’를 한글로 새긴 것으로 추정하였다. 오세창이 중국어에 능통했던 漢語 역관이었던 점, 소리 나는 데로 표기하는 한글의 표음문자로서의 특징, ‘위엄 있고 온화함’이라는 뜻을 가지는 印文이 자신의 이름인 ‘오세창’과 함께 새겨진 점 등이 그 이유이다. 그렇다면 <뮤뮤>는 이른 시기의 한글 閑章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한글이 한국인의 문자생활에 전면적으로 부상한 초기에 선구적으로 한글 궁체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작품화에 힘쓰고 한글서예 교본을 남긴 남궁억, 자신의 집안에 보내진 궁중의 편지를 통해 궁체를 서예화하고 후진을 양성한 윤백영, 한글학자 이만규의 딸들로 궁체 저변화에 노력하고 일찍이 한글 인장을 사용한 이철경과 이미경, 궁체 일변도의 한글 서예에서 훈민정음창제 당시의 판본을 연구해 古體를 창안하고 1940-1950년대에 여러 벌의 한글 인장을 사용한 김충현, 한글 인장예술의 선구자로서 초기 국면을 개척한 김응현, 일제강점기 민족 운동가이자 서예가, 전각가로서 한글 인장을 남긴 오세창 등을 한글 인장예술 초기의 대표적 인물로 꼽을 수 있다. 오세창과 김응현은 한글 인장을 처음으로 새긴 전각가로 자기 매김 되며, 김응현은 자신의 한글서예에 한글 인장을 自刻自用한 최초의 작가로서 의미가 크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written to look into the aspects of Hangeul seal-engraving art by the year of 1920-1950's. It was possible for Hangeul seal-engraving art to become a new form of art in the 20th century, since Hangeul was used as Korean letters instead of Chinese and Hangeul became a part of calligraphy. The founders of Hangeul calligraphy are Hanseo(翰西) Namgung-eok(南宮檍 1863-1939) and Sahudang(師候堂) Yun Back-young(尹伯榮 1888-1986). By them, Hangeul calligraphy works were appeared in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but Chinese seal-engraving has been used. Hangeul seal-engraving was not used by 1930's, and at that time it was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times.
    The first Hangeul seal-engraving was showed in Iljung(一中) Kim Chung-hyeon(金忠顯 1921-2006)'s Sijoshipchup(時調十疊) in 1942. Kim Chung-hyeon used Hangeul seal-engraving in his Hangul calligraphy in the early 1940's, which showed his pioneering consciousness, and after that he used several Hangeul seal-engravings in 1940s and 1950s. His Hangeul seals were engraved by his brother Yeocho(如初) Kim Eung-hyeon(金膺顯 1927-2007).
    Kim Eung-hyeon, calligrapher and seal engraver,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rtist used Hangeul seal engraved by himself. His first Hangeul seal-engraving was identified in his work, Hoongyejasonga(訓戒子孫歌) in 1946, which he made at the age of 20. Hyodereiyeui(효뎨례의) by Kim Eung-hyeon, he recreated the shape of the coins and letter forms in Joseon dynasty as a modern Hangeul art, and it created a model of beautiful Hangeul seal-engraving patterns. He achieved a remarkable work as a pioneer in the field of Hangul seal-engraving art.
    Galmul(갈물) Lee Chul-kyung(李喆卿 1914-1989) used the separate writing forms of Hangeul seal-engraving in 1947 and her sister, Gokdul(꽃뜰) Lee Mi-kyung(李美卿 1918-) used similar forms of Hangeul seals. These seals seemed like from their father, Yaja(也自) Lee Man-gyu(李萬珪 1889-1978), a Hangeul scholar who wanted his daughters to learn the court style of Hangeul writing and gave them Hangeul pen names.
    Ohsechang(오세창), Mumu(뮤뮤) by Wichang(葦滄) Oh Se-chang(吳世昌 1864-1953) is Hangeul seal-engraving made before his death in 1953, and '뮤뮤' is hard to understand its meaning. Considering that Oh Se-chang was a translater, fluent in Chinese and also the meaning of the seal letters, I assume that the Chinese pronunciation of 'mùmù(穆穆)' was engraved as '뮤뮤' in Korean letters.
    The followings are some representatives in the early Hangeul seal-engraving art: Namgung Eok contributed to the pioneering achievement of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to be realized and disseminated. Lee Chul-kyung and Lee Mi-kyung, the daughters of Lee Man-gyu, a Hangeul scholar, put their efforts to expand the base of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Kim Chung-hyeon used Hangeul seal-engraving in his Hangul calligraphy in the early 1940s. Kim Eung-hyeon who was a pioneer in Hangeul seal-engraving art and developed the very first phase of it. Oh Se-chang who left Hangeul seal-engraving as a national pioneer. Oh Se-chang and Kim Eung-hyeon are recognized as seal engravers who engraved Hangeul seal for the first time. Kim Eung-hyeon is recognized significantly as the first person who engraved his own Hangeul seal-engraving and used it on his Hangeul calligraphy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