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경성사범학교 졸업생의 교직 생활 (Teaching life of graduates of Kyeong-seong Normal School in the 1920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12
35P 미리보기
1920년대 경성사범학교 졸업생의 교직 생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육사학 / 40권 / 4호 / 21 ~ 55페이지
    · 저자명 : 김광규

    초록

    본 논문은 1920년대 경성사범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입학 동기와 졸업 후 초임 발령에서부터 교직을 떠나기까지 인사 실태, 교원으로서의 생활 실태를 조선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착목하여 살펴본 것이다. 경성사범 졸업생의 교직생활을 준비, 시작, 일상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교직생활의 준비 단계로서 경성사범 입학 동기와 함께 경성사범의 실제 학생 편제·구성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교직생활의 시작 단계로서 초임 발령시 자격, 봉급, 발령지 등의 인사상 특징을 규명하였으며, 교원의 일상을 채웠던 여러 가지 일과 활동, 승진, 근속 기간, 일상의 불만과 고민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1922-1929년 경성사범 졸업생 1289명의 주요 이력을 전수 조사하여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경성사범은 조선인․일본인 공학이었으나 일본인 학생이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사실상 일본인 교원 양성 학교로 기능하였다. 조선인, 일본인 모두 경성사범 입학 동기에서 경제적 이익이 중요했지만 경성사범 입학이 조선인 학생에게는 극소수만이 가질 수 있던 기회였던 반면, 일본인 학생에게는 사회경제적 상황상, 가정 형편상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다는 차이가 있었다. 경성사범 졸업생은 각 도의 공립사범학교 졸업생에 비해 높은 자격과 봉급을 받으며 전국 각 도의 초등학교에 초임되었다. 경성사범 출신 교원의 일상은 학교 교육 활동과 사회 교육 활동을 기본으로 하며, 기타 강습회 참가, 도서 간행, 강습회 개최, 시찰단 파견 등 조선교육회, 초등교육연구회 등에서 진행한 각종 사업에 참여하는 활동 등으로 채워졌다. 그러나 기본적인 학교 교육·사회 교육 활동을 제외한 다른 활동이나 교장 승진 기회를 얻는 데서 조선인 교원은 일본인 교원보다 불리하였다. 경성사범 출신 교원의 10년 이상 장기 근속자 비율은 70% 이상으로 1910년대 양성기관 출신 교원 보다 높았다. 관료 신분, 안정적으로 지급되는 급여, 퇴직 후의 은급(연금) 등 조선의 관공립학교교원이라는 직업이 보장하는 이익, 교직 생활에서 경성사범 졸업장이 주는 상대적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만족하지 못한 자들은 교직을 떠났다. 이 경우 진학이나 다른 시험에 응시한 자들이 있고, 소수지만 교육 운동에 참여한 자들도 있었다. 전자가 대학 졸업 자격에 미치지 못하는 학력, 교원 중에서도 초등교원이라는 직업에 만족하지 못한 자의 선택이었다면, 후자는 개인적 영달보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현실과 교육 문제에 눈을 돌린 자들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eaching life of the graduate students of Kyeong-seong Normal School in the 1920s in terms of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The teaching life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preparation, beginning, and daily life in this paper. First, in the preparatory stage of teaching life, the motivation to enter the school, second, in the beginning stage of teaching lif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nel such as starting salary, first place of appointment, third, various work activities, promotion, tenure, daily complaints and anxieties that the teachers had to do during their everyday life were examined. The career of 1289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Kyeong-seong Normal School in the 1920s was investigated and used as research data. Kyeong-seong Normal School had more than 80% of Japanese students. Subtl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otivation for entering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Kyeong-seong Normal School graduates received a higher salary than other school graduates, and were commissioned to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They routinely did school and social education. Even after graduating from Kyeong-seong Normal School, Korean teachers were disadvantaged in obtaining promotion or other opportunities than Japanese teachers. Those who are dissatisfied with their teaching career have left their teaching profession. Many of them left after pursuing a better socio-economic status, but there were some who devoted themselves to the educational movement, paying attention to the reality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육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