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0년대 한국 필름느와르에 나타난 남성성 (A Study on Masculinities of Korean Film Noir Genre in the 2000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08
15P 미리보기
2000년대 한국 필름느와르에 나타난 남성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0권 / 3호 / 127 ~ 141페이지
    · 저자명 : 원일훈

    초록

    연구배경 오늘날 남성성연구는 사회과학분야외의 영역으로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면서 텍스트들과 배경들을 풀어내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영화와 연계된 남성성 연구는 영화가 상업적 대중문화의 주요 장르로서 강한 문화 전파력을 가지고 있고 관객들에게 유혹적인 역할모델을 가장 받아들이기 쉬운 형태의 시각적 아이콘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영화 인물들의 행위는 관객의 일상생활의 행위 방식에 분명한 함의를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보다 중요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한국 영화 중 특히 필름느와르film noir 장르의 영화에 나타난 남성성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심층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필름느와르에서의 남성성은 장르 구성의 핵심장치로서 영화의 분위기와 성격을 결정짓는다. 또한 이들 영화의 인물들은 남성성의 원형적 특성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분석 작업은 한국사회가 지니고 있는 지역적, 문화적 특수성을 탐구하고, 한국사회가 지니고 있는 시공간적 특성에 따른 남성성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남성성의 기본 개념과 필름느와르에 관하여 살펴본 후 2000년대 필름느와르의 장르적 특징을 잘 드러내면서 비평적으로도 좋은 평가를 받은 <달콤한 인생>(2005), <비열한 거리>(2006), <해바라기>(2006), <추격자>(2008), <아저씨>(2010)를 중심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영화에 재현된 남성상과 그들이 실행하는 남성성의 특성적인 면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연구결과 2000년대 필름느와르에 나타난 남성성에 대해 우리가 어느 정도 확실하게 지적할 수 있는 뚜렷한 특징은 강한남성 주의가 전면에서 강조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다른 시대 다른 상황에서 경험되고 전시되던 다양한 남성성의 유형적 특징들이 유동적으로 한데 엮어져 모호한 모습의 혼종적 남성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결론 남성성은 지난 몇 십 년의 세월동안 현상과 본질 모두에서 급격하게 변화되었다. 남자들과 남성성에 관한 연구 분야도 전 지구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이런 추세에 속도를 더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 속에서 2000년대 한국 필름느와르에는 다양한 남성성의 유형적 특징들이 유동적으로 한데 엮어져 모호한 모습의 혼종적 남성성의 특징이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영화에 나타난 남성성들을 단순하게 특정한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기 어렵게 만든다.

    영어초록

    Background Today‘s masculinity studies have extended their frame over the field of social science, and it’s specify being used to interpret its text and background. Masculinity studies in conjunction to film are particularly gaining significance because films, popular films in particular, are strong cultural transmitters, and provide audiences with desired role models in the format of visual icons. Furthermore, the actions of actors on the screen have strong implication on the daily lives of the audi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ortrayal of masculinity in Korean film noir in the 2000s, and discuss its significance. Masculinity in film noir is the essential apparatus which determines the atmosphe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Because the characters clearly reflect the archetypes of masculinity, based on the analysis, one can contemplate o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distinctions in Korean society, and this study can assist further studies through a diverse and systematic approach to the spac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Methods This paper will examine previous researches on the subject matter, and lay out the basic concepts of masculinity and film noir. A Bittersweet Life(2005), A Dirty Carnival(2006), Sunflower(2006), The Chaser(2008), and The Man from Nowhere(2010) will provide case studies for the analysis and representation of masculinity.
    Results The distinctive traits of masculinity in Korean film noir in the 2000s shows a strong masculinist hegemony, but flexibly incorporates diverse masculinity through different times to create an ambiguous hybrid of masculinity.
    Conclusions For the past few decades, the concept and essence of masculinity has changed dramatically. The study of men and masculinity has grown in global scale and the trend is gaining speed. Under these conditions, Korean film noir in the 2000s reflects characteristics of diverse masculinity through different times to create an ambiguous hybrid of masculinity and make it difficult to designate a uniform archetype of masculinity represented in film noi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