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심리 연구 100년, 성찰과 전망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Contemplation of 100 Years’ Research on Communication and Media Psychology)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12
58P 미리보기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심리 연구 100년, 성찰과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 이론 / 20권 / 4호 / 5 ~ 62페이지
    · 저자명 : 나은영

    초록

    본고에서는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심리에 관한 연구가 태동하여 발전해 온 100년의 과정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전망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주로 지금까지 발간되어 온 학술 문헌들을 분석하되, 커뮤니케이션학과 미디어심리학을 분리해 살펴보았다. 먼저, 커뮤니케이션학과 미디어심리학의 탄생 배경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흘러 왔는지를 개관한 다음, 커뮤니케이션학의 4비조와 예일 커뮤니케이션 연구팀의 기여, 그리고 커뮤니케이션학의 명칭과 학회 및 학과들의 등장을 정리하였다. 이어 커뮤니케이션 연구 주제의 발전과 변화를 주요 저널들에 실린 논문들의 제목과 특별호 타이틀을 중심으로 보고한 다음, 커뮤니케이션 연구 방법의 발전과 변화를 논의하며 1996년부터 2017년까지 5개 저널에서 매개 분석에 사용된 연구 설계가 점점 더 복잡하게 변화되어 왔음을 이야기하고, 1980~2013년 사이에 실험을 보고한 논문들의 비율도 증가해 왔음을 보여 주었다. 이어 미디어 분야와 심리학 분야의 융합으로 탄생한 미디어심리학의 태동과 발전 과정을 소개하고,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심리 연구가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동행하며 점점 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오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인터넷 이용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들의 개관에 이어, 최근에는 인공지능이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심리 연구에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여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소개하면서, 이로 인해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범위도 확장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챗GPT의 편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이처럼 확대되어 가는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심리 연구를 포괄할 수 있는 학문 분류 체계의 수정 필요성도 제안하였다. 끝으로, 커뮤니케이션학과 미디어심리학의 공통점은 ‘미디어를 통한 인간 연결의 학문’이란 점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두 학문 모두 필연적으로 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따른 변화를 겪게 되고,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인간 심리의 변화에 관심을 두게 되어, 요즘과 같은 AI 시대 도래 이후 더욱 밀접한 관련을 지니며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발전해 갈 것으로 전망됨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e present article reported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contemplation of 100 years’ research on communication and media psychology. With a view to reaching this purpose, in-depth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with various research published in major books and journals in these two areas separately. First of all, a historical flow of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research trends of Communication and Media Psychology was introduced. And then, the contributions of four founding fathers of communication and Yale Communication Research Group were addressed,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associations and university departments. The major themes of communication research were reviewd based on the article titles of major communication journals, followed by the trends of elaboration of methodology in the research of communication. In particular, it was mentioned that more and more complicated mediational models were tested during 1996~2017 in five major journals, as well as that experimental research has been grown from 1980 to 2013. The consilience of media and psychology was discussed, resulting in the birth of Media Psychology. Both Communication and Media Psychology have produced greater amount of research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After reviewing some meta analyses of internet use, the author suggested that recent upsur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ttracted stro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on communication and media psychology, which may broaden the scope of these areas of research. Careful approach to research on AI because of its bias, and the possibility of reformation of the present categorization system of research areas were suggested to include developing interac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growing cutting-edge media technology. Finally, communication research and media psychology have a common ground in ‘the connection of human-beings through media,’ so that both of them suffer from chang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as well as concerns on human mind. AI era may trigger more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s and media psych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