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45년 당 태종의 고구려 원정 목적과 의미 (The Purpose and Meaning of Tang Taizong's Koguryo Expedition in 645)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7
41P 미리보기
645년 당 태종의 고구려 원정 목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67권 / 63 ~ 103페이지
    · 저자명 : 정원주

    초록

    守成의 시대를 선언하고 당왕조의 장기적 존속과 번영을 추구하던 당 태종은 수 멸망의 단초가 되었던 고구려 원정을 시도했다. 당 태종은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원정을 시도했을 뿐 아니라 직접 전쟁에 참여하였다. 당의 고구려 원정 준비는 고창을 멸망시키고 고구려에 직방낭중 지위에 있는 진대덕을 보내 그 허실을 살피게 했을 때부터 시작되었다.
    643년 고구려에 파견한 상리현장이 돌아오면서 전쟁이 결정되었다. 당 태종은 전쟁 준비가 한창이었던 그해 8월 언기를 공격해 10월에 언기도독부를 설치하였다. 고창 멸망 후 동서교역의 새로운 거점으로 부상하고있던 언기에 대한 공격은 고구려에 경제적 압력을 주어 내부의 갈등을 일으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고구려가 당에 굴복하지 않으면 그 교역을 강력하게 차단하겠다는 압박의 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교역의 중단은 이를 통해 부를 축적하던 지배층과 부유층들을 동요시킴으로써 고구려의 내부적 갈등을 야기시키기 위한술책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642년 정변을 통해 정권을 잡은 연개소문 세력이 갖는 정권 초기의 불안정한 권력구도를 흔들기 위한당태종의 의도는 고구려 정벌의 명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당 태종은 고구려 원정이 영류왕을 시해하고 백성을 학대하는 연개소문의 죄를 묻기 위한 것임을 공표하였을 뿐 아니라 전쟁 중에도 이러한 그의 의도를 분명히드러내었다. 당 태종은 출정전부터 고구려 내부의 분열을 조장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었고, 압도적인 무력과 빠른 전쟁 진행으로 고구려를 위협함으로써 내부의 혼란을 가속화시켜 쉽게 고구려의 항복을 받아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당은 고구려의 견고한 방어선을 뚫지 못하고 안시성에서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당 태종이 고구려원정에 나서면서 내세웠던 사방평정은 정복을 통한 영토 확장이 아니라 당이 주도하는 세계질서에 합류시키기 위한 것이다. 당 태종은 왕조의 우환이 될 강대한 세력의 출현을 억제시키는 방책에 따라 강자의 경우는 응징을 가하고 약자의 경우에는 지원해서 세력을 길러주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당 태종은위협이 되는 국가를 정벌하여, 중국의 군현으로 삼기도 했지만, 그들의 국력을 약화시키고, 내정 간섭을 통해당에 예속성이 강한 정권을 만들면서 이들을 통제하고자 한 것이다.
    무엇보다 당에 의해 주도되는 경제 네트워크를 통해 경제를 예속화시킴으로써 자립의 기회를 없애고, 지배층에게는 하사를 통한 위세품을 제공함으로써 그들 국가의 피지배층과 분리시키고 정치 세력 재편에 영향을끼쳐 정치에서의 당에의 예속화를 더욱 진전시키고자 하였을 것이다. 이것이 당태종이 추구한 변경의 안정을위한 사방평정의 모습이며, 수성의 황태자인 李治에게 물려주고 싶었던 제국의 모습이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Tang Taizong, who declare the age of National Stability and pursued the long-term existence and prosperity of Tang Dynasty, attempted the Koguryo expedition that led to the fall of the Sui Dynasty. In spite of the many oppositions, He not only tried the expedition but also participated in the war himself. Preparations for the Koguryo expedition in the Tang Dynasty began when Gochang(高昌) was destroyed and Jin Dae-deok(陳大德), who was in the position of Jigbangnangjung(職方郎中) was sent to Koguryo to discover the strong and week points The war was decided when the Sanglihyeonjang(相里玄獎) site returned to Koguryo in 643. In August of that year, when preparations for war were in full swing, Tang Taizong attacked Eongi(焉耆) and established Eongi Dokdobu(焉耆都督府) in October. After the fall of Gochang, the attack on the Eongi, which was emerging as a new hub for East-West trade, seems to be aimed at causing internal conflicts by putting economic pressure on Koguryo. This would have been a way of putting pressure on Koguryo to block the trade if it did not yield to the Tang. The suspension of trade could have been a way to provoke the internal conflict of Koguryo by agitating the ruling and wealthy people who had accumulated wealth In addition, Tang Taizong's intention to shake up the unstable power structure of the early days of the regime, which took power through the political upheaval in 642 is also revealed in the justification of Koguryo. He not only announced that the expedition of Koguryo was aimed at punishing Yeon Gaesomun(淵蓋蘇文), who assassinated King Youngryu(榮留王) and abused the people, but also revealed his intention during the war. He must have thought that he could easily win Koguryo's surrender by creating conditions that could encourage division within Koguryo even before his departure, and by accelerating internal turmoil by threatening Koguryo with overwhelming force and rapid progress in war. The Tang Dynasty was forced to retreat from Anxi Fortress(安市城) without breaking through the solid defense line of Koguryo.
    As Tang Taizong of the Tang Dynasty embarked on the Koguryo expedition, the subjugation in all directions(四方平定) was not aimed at expanding territory through conquest, but at joining the world order led by the Tang Dynasty. He adopted a method of raising power by punishing the strong and supporting by following measures to suppress the emergence of mighty forces that would be the dynasty's success.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s to curb the emergence of powerful forces, which would become a royal asset, Tang Taizong adopted a system of punishing the strong and supporting the weak to develop their power. Above all, the opportunity for independence is lost by subjugating the economy through the economic network led by the Tang Dynasty. By providing luxury to the ruling class, they would have sought to further advance the servitude to the party in politics by separating them from the dominant groups of their countries and influencing the reorganization of political power. This would have been the image of the subjugation in all directions for the stability of the frontier pursued by the Tang Dynasty, and it would have been the image of an empire that he wanted to pass on to Ichi, the crown pri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