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9~1945년 경북 지역의노동력 강제동원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Gyeongbuk Area from 1939 till 1945)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12
24P 미리보기
1939~1945년 경북 지역의노동력 강제동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58호 / 35 ~ 58페이지
    · 저자명 : 이수환, 이광우

    초록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939~1945년 사이 진행된 조선인 노동력 강제동원의 전개 양상과 경북 지역의 노동력 강제동원 사례를 정리하고, 향후 진행될 경북 지역 노동력 강제동원 연구·조사를 전망한 것이다.
    1930년대 이후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많은 인적·물적 자원이 동원되었다. 그러나 일본 본토의 자원만으로는 확대된 전선을 감당할 수가 없었다. 이에 1938년 제정된 국가총동원법에 의거하여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인적·물적 수탈이 식민지 조선에서 이루어졌다. 8백만 명에 달하는 조선인이 노무자, 군인, 군속, 위안부 등으로 강제동원 되었는데, 그 중 노동력 강제동원 인원만 7백만 명을 초과한다.
    일본은 국가총동원법 제정 이후 원활한 노동력 강제동원을 위해 추가로 각종 법적 조항을 제정해 나갔다. 이에 따라 조선인에 대한 노동력 강제동원은 모집, 관알선, 징용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특히 1944년 확대된 국민징용령은 사실상 모든 조선인 성인 남성을 강제동원의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것으로, 동원의 형태도 한층 더 폭력적이고 강압적이었다. 이때 조선인들은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사할린, 남양군도 등으로 강제동원 되었으며, 열악한 노동 환경, 폭력이 동반된 노무관리, 약속보다 적은 임금, 그리고 계약 기간 연장 강요 등 반인륜적 대우에 고통을 겪어야 했다. 하지만 1차 자료의 한계와 일본 정부의 비협조, 연구 인력의 부족, 그리고 우리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으로 인해 강제동원의 피해 규모와 실상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 지역은 일제강점기 가장 많은 노동력 강제동원이 이루어졌던 지역 중 하나로 판단된다. 자료의 한계 때문에 피해자의 출신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우리 정부와 일본 정부가 작성한 피해자 신고 명부, 사망자 명부 등을 살펴보면 대체로 경북 지역에서 가장 많은 피해자가 보고되었음이 나타난다. 그간 경북 지역의 노동력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조사는 생존 피해자들의 구술, 강제동원에 저항한 사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구술 자료는 노동력 강제동원의 반인륜적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노동력 강제동원에 대한 저항 사례 중에서는 경산과 안동에서 전개된 조직적인 대응이 주목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development of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Chosun from 1939 till 1945 and the cases of it in Gyeongbuk area based on advanced research and also anticipate how follow-up research on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Gyeongbuk area will be going on.
    After the 1930’s, Japan’s imperialistic invasion started genuinely, and a lot of human and materialistic resources failed to avoid its mobilization. Only with the recourses located in its own land, Japan could not manage to carry out the extended battle. Under its National Mobilization Law institutionalized in 1938, Japan performed human and materialistic exploitation in colonized Chosun from 1939 till 1945. Up to 8 million Chosun people including laborers, soldiers,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nd comfort women were mobilized compulsorily then, and among them, over 7 million fall under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Afte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ts National Mobilization Law, Japan continued to add articles to it in order to conduct its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more favorably. Based on that, Japan developed its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on Chosun people in the forms of recruiting, public collection, and requisition. Particularly with the regulations of requisition added in 1944, Japan, in fact, included all Chosun adult males as the subjects of its compulsory mobilization, and the form of its mobilization became even more violent and coercive. At that time, Chosun people were compulsorily mobilized not just in Korea but in Japan, Sakhalin, or the South Sea Islands, too, and they had to go through the pain resulted from inhumane treatments such as labor management accompanied with poor labor environment and violence, wages lower than what was promised, and forced lengthening of the contract term. However, we still cannot figure out the scale or actual situation of the damage resulted from the compulsory mobilization clearly on account of the limited primary materials, Japanese government’s unwillingness to cooperate, lack of research manpower, and Korean government’s passive coping with it.
    Gyeongbuk area is regarded as one of the regions where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was performed the mo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in figuring out the native places of the victims accurately due to the shortage of materials, the lists of the victims and the dead re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also Japanese government tell us that the most are reported in Gyeongbuk area. Research on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Gyeongbuk area has been conducted mainly with the oral reports of the victims alive or resistant cases against the compulsory mobilization up until now. Oral data show us the inhumane aspects of the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vividly. Also, some of the resistant cases against the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are noticeable as they opposed to it systematically in Gyeongsan and And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