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60년대 디즈니 담론의 문화적 지형 (tem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7.12
26P 미리보기
1950·60년대 디즈니 담론의 문화적 지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애니메이션연구 / 3권 / 2호 / 61 ~ 86페이지
    · 저자명 : 이경숙

    초록

    영상 매체를 통해 대중 문화의 시각화가 본격화된 1960년대는 디즈니 담론이 대중적으로 형성되고 직접 영화 매체를 통해 디즈니의 문화상품을 경험할 수 있는 시기였다. 문화의 주체적인 수용자로 호명되지 못했던 어린이, 청소년, 가족을 공적 공간으로 불러내어 대중문화의 수용자로 위치지운 것도 디즈니의 문화상품을 매개로 이루어졌다. 아메리카 문화를 상징하는 디즈니의 문화 상품은 불량 대중문화로 인식되는 일본 만화와 대비되어 고급 문화적 대중문화 양식으로 받아들여졌다. 디즈니라는 의미는 근대화에 대한 열망과 함께 교육적이고 건전한 영화에 대한 수용자들의 욕구와 저급문화에 대응하는 고급스런 대중 문화양식에 대한 사회적 필요에 부응하는 문화상품으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이러한 의미와 함께 디즈니의 문화상품은 세계적인 저명성을 토대로 다양한 영역의 문화 상품으로 한국의 수용자에게 경험될 수 있었다. 한국에서 고급의 대중문화와 대중오락의 한 형식으로 인정받은 디즈니의 만화영화는‘디즈니’와‘아메리카’문화에 대한 신화를 형성하는 기제로 작용하기도 했다. 이후‘디즈니’라는 의미는 애니메이션의 준거 이자 표준으로 작동하게 되었고, 한국에서 디즈니와 관련된 다양한 캐릭터, 출판동화 등
    으로 애니메이션 파생 상품을 생산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영상매체가 확산되던 이 시기‘디즈니’가 보여주는 꿈과 환상은 애니메이션 자체의 텍스트에서 기인하기도 하지만, 근대 과학기술, 미국의 헐리우드가 상징하는 근대화의 환상에 대한 한국 사회의 열망과 결합되어 하나의 신화로 정착했다. 디즈니의 색채만화나 기록영화는 아메리카의 특징으로 소개되었고, 근대적 과학기술의 발전을 의미했다. 디즈니는 영상매체의 스펙타클을 통해 한국인이 꿈꾼 근대의 이상향으로써 아메리카, 헐리우드를 상징하게 되었으며, 근대의 꿈으로써 미국식 라이프스타일을 위치시켰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scribes, historically, the reception of products of the Walt Disney Company during 1950-1960 in Korea.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ways that foreign culture works and has been represented in the local context, especially consider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reception of Disney products. The leading Disney characters, Mickey and Minnie, have been popular in Korea for a long time. The genre of animation could be socially recognized and established as a cultural mode and entertainment due to Disney’s popularity in Korea. Above all, Disney produc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been deeply involved in the modernization of Korea.
    The films of Disney were recognized as useful for children and families, especially because there was no other mass medium for children except comic strips, a similar but primitive genre that had become popular among children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After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zation, the import of Japanese cultural products was prohibited by law. While the Korean people perceived the illegal comic books from Japan as uneducational and harmful for children, they believed that the animated films of Disney had a scientific and educational quality for children. The Korean people believe that Disney products were good and educational. As a result, Disney films came to represent American fantasy and the success of modern science which could help the modernization of Korea.
    When the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was introduced and established during the 1960s, animation became a part of regular programming and children could watch animation on television at home. Disney animated films were the first cultural products for children which were available in public places after the Korean war. The audience perceived them as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mass art of an advanced country. Compared with Japanese animated films, people believed that Disney products reflected scientific development and the fantasy of American modern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