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 박태순의 ‘실천’에 관한 메타-실천 (Meta-Practice on Park Tae-soon’s Theory of Practice in the 1980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1.06
44P 미리보기
1980년대 박태순의 ‘실천’에 관한 메타-실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2권 / 373 ~ 416페이지
    · 저자명 : 이미영

    초록

    이 글은 박태순의 ‘실천’의 벡터를 자원으로 삼아 절필을 전후하여 제출된 ‘실천론’과 『어제 불던 바람』(1979),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1980) 두 텍스트를 주목, 한 지식인 작가의 ‘변형’과 텍스트 속 새로운 주체 창출의 기획이 동시적으로 수행된 맥락을 고찰한다.
    이 글은 박태순의 ‘실천’이 당대 문학장에서 차이화(différance)되는 맥락을 주목한다. 이를 위해 정해진 도달점으로 그의 실천을 해석하는 프로토콜을 해체하고, 벡터로서 그의 실천의 향방을 가늠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다음의 두 맥락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첫째, ‘사학도’라는 실천적 ‘자기’ 창출의 국면에 박태순 자신의 작가적 정체성을 허무는 ‘변형’의 과정이 내재한다. 둘째, 박태순의 담론적 실천은 제3세계문학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는 가운데 ‘민족문학(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에 제출된다. 이렇게 박태순의 ‘실천’이 기획ㆍ수행되는 ‘맥락’으로 논점을 이동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박태순은 당대 민족문학론(자)들의 이념적 이상으로 존재하는 ‘민중’에 부합하지 못했던 존재들을 선택하여 그들의 역사적 출현의 토대를 숙고하고자 했다. 둘째, 이는 후진국의 문학인이 봉착해있던 이론과 실체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는 이론적 실천이었다.
    이 글은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박태순의 주체 창출의 기획을 조명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체계 안에서는 명명될 언어적 위치나 인식적 위치가 없는 문제들을 숙고할 가능성을 열어 보고자 했다.

    영어초록

    Using Park Tae-soon’s “practice” vector as a resource, this article focuses on “practice theory” and Wind from Yesterday, (『어제 불던 바람』,1979) and Youth of a history student(『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1980), considering the simultaneous performance of an intellectual writer’s “transformation” and the planning of creating a new subject in the text we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This article aimed to note the context in which Park Tae-soon’s “practice” differs from(différance) in the literary arena of the time. In this sense of problem, he attempted to dismantle the protocol that interpreted his practice with a fixed point of reach, and to gauge the direction of his practice as a vector.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wo contexts were considered important: First,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that destroys Park Tae-soon’s own writer identity is inherent in the phase of creating a practical “self” called “history student.” Second, Park Tae-soon’s discourse practice is submitted to a situation where discussions on “ethnic literature(theory)” are actively taking place amid the rapid rise of interest in Third World literature.
    As such, Park Tae-soon’s “practice” was planned and carried ou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ark Tae-soon tried to consider the foundation of their historical appearance by choosing beings who did not conform to the “people” who existed beyond the ideological ideals of the ethnographic literature of the time. Second, it was a theoretical practice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the reality faced by writers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By shedding light on Park Tae-soon’s plan to create a subject that has not been noticed so far, this article opened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issues that do not have a linguistic or cognitive position to be named in the Korean literary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