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안동지역 여성단체와 활동 (Activities of women's organizations in Andong in the 192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11
34P 미리보기
1920년대 안동지역 여성단체와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49권 / 101 ~ 134페이지
    · 저자명 : 강윤정

    초록

    안동지역에서는 1920년 7월 30일 ‘안동부인회’가 결성되었다. 결성 주체는 김법상‧김병규‧김선경‧김일애 등 불교계와 기독교계 여성들이다. 안동부인회는 안동지역 청년회와 연대하여 여성교육과 안동유치원설립 운동을 이끌었다. 이들의 활동은 여성교육계몽에 그치는 한계를 보였지만, 새로운 여성운동을 여는 마중물 역할을 하였다. 안동부인회가 설립한 안동유치원의 교사로 부임한 주금경‧이기현 등에 의해 사회주의 여성해방운동이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1925년 11월 조직된 안동여성회는 계급의식 각성을 목적으로 자체의 교양과 훈련에 노력하는 새로운 성격의 단체였다. 창립 이후 안동여성회는 부인야학 및 부인견학 활동, 도산서원철폐운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도산서원철폐운동은 남성들의 여성인식 전환에도 중요한 구실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안동여성회는 1926년 5월 명칭을 ‘안동여자청년회’로 바꾸었다. 이를 주도한 주체는 중앙의 화요파, 안동의 화성회와 연결된 사회주의 운동가들이다. 이들은 1926년 11월 「정우회 선언」 이후 ‘안동청맹 가입, 혹은 근우회 지회로의 개편’이라는 선택지 앞에 놓였다. 그러나 안동여자청년회는 무산아동을 대상으로 한 여자야학부 운영, 메이데이 행사 준비 등의 활동을 전개하며, 1929년까지 독자적인 여성청년조직을 유지하였다. 이는 전국에서 보기 드문 사례이며, 근우회 안동지회가 조직되지 못한 원인이기도 하다. 그러나 1929년 들어 세력이 약화되면서 결국 새로운 대안이 필요했다. 이에 안동청년동맹 산하에 여자부를 조직하고 활동하는 여성들이 등장하였다. 김성애‧전금옥‧박금숙‧김정해 등이 바로 그들이다. 이들은 1931년 들어 조공재건운동의 일환으로 조직된 안동콤그룹 세포조직인 여자부를 조직하기도 했다. 이들의 활동은 여성운동으로서의 방향성을 찾지 못한 한계를 드러냈지만, 한편으로는 지속적인 민족해방운동의 일익을 담당했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적지 않다.

    영어초록

    In the Andong area, the Andong Women's Association was formed on July 30, 1920. The formation subjects are Buddhist and Christian women such as Kim Beop-rye, Kim Byeong-gyu, Kim Seon-kyung, and Kim Il-ae. The Andong Women's Association led the movement for women's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ndong kindergarten in solidarity with the Andong Youth Association. Their activities showed limitations only in the women's education enlightenment movement, but served as priming water for opening a new women's movement. This is because the socialist women's liberation movement was developed by Joo Geum-kyung and Lee Ki-hyun, who were appointed as teachers of Andong Kindergarten established by Andong Women's Association. The Andong Women's Association, organized in November 1925, was a new organization that strives for its own culture and training for the purpose of awakening class consciousness. Since its foundation, Andong Women's Association has carried out women's night school, women's field trip activities, and the campaign to abolish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In particular, the movement to abolish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is significant in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men's perception of women.
    Andong Women's Association changed its name to Andong Women's Youth Association in May 1926. The subjects who led this were socialist activists connected to the Hwayo faction in the center and Hwaseonghoe in Andong.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Jeongwoohoe in November 1926, they were placed in front of the option of "joining Andong Cheongmeng, or reorganizing the Geunwoohoe branch.“ However, the Andong Women's Youth Association maintained its own women's youth organization until 1929 by operating the women's department and preparing for May Day events for Musan children. This is a rare case in the country, and it is also the reason why the Andong branch of the Geunwoohoe was not organized. However, as the power weakened in 1929, new alternatives were eventually needed. Accordingly, women who organized and operated the women's club under the Andong Youth League appeared. They are Kim Seong-ae, Jeon Geum-ok, Park Geum-sook, and Kim Jeong-hae. In 1931, they organized the women's division, a cellular organization of Andong Com Group, which was organized as part of the tribute reconstruction movement. Their activities revealed the limitations of not being able to find a direction as a women's movement,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layed a part in the continuous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