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광화문 중건과정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Gwanghwamun reconstruction in the 196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5.12
11P 미리보기
1960년대 광화문 중건과정의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4권 / 6호 / 45 ~ 55페이지
    · 저자명 : 강난형, 송인호

    초록

    해방 이후 광화문은 문화재로써 두 차례의 중건이 이루어졌다. 2006년 12월 중앙청 정문에 서있던 콘크리트 구조의 광화문이 철거되고 원위치에 목구조 광화문으로 중건되었지만, 1960년대에 시작된 광화문 앞길의 변화는 여전히 역사도시 서울에 남겨져 있다. 제3공화국시기, 새로이 현대성(Modernity)을 받아들여야하는 당위성을 유산의 단일 건축과 도시에 부여했다. 광화문의 입지와 양식선택은 유산과 도시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광화문 중건은 제3공화국의 중앙청 복구로 시작된 광화문 앞길변화과정에 실현되었다. 콘크리트 구조로 전통양식을 구현하는 것은 물질이 바뀌어도 전통을 계승할 수 있으며 오히려 새로운 시대의 기술을 덧붙여져야 한다는 사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광화문 중건(1968)이 새로운 기술적 사고를 통해 다른 양식을 창작하였던 결과물이었다는 가설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1968년 건축가 강봉진의 작업으로 건설된 광화문은 전통 목조건축을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중건한 것이었다. 당시의 문헌과 도면을 토대로 광화문의 건축계획과정과 구축방식을 정리하고자 한다. 둘째, 1968년 중건된 광화문의 구축방식과 구성요소의 분석을 통하여 전통양식과 근대 기술의 관계를 해석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fter the Korean war, two major attempts were made to reconstruct Gwanghwamun Gate as an important part of Korea’s lost cultural heritage. In December 2006, the Korean government replaced the concrete gate with a wooden one, yet traces of the attempts made in the 1960s to transform Gwanghwamun Gate and the main road remain to this day. At the time, the Third Republic of Korea, sought to legitimize itself in the name of modernity, and went on to modernize the architecture and urban landscape of Seoul. The location and design selected for the rebuilt Gwanghwamun illustrated the symbolic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 heritage and urban development. The reconstruction of the gate began as part of the Third Republic’s project to restore the Central Administration Building and culminated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main road in front of the gate. By reconstructing the traditional gate using concrete, the military government intended to convey the message that we could inherit our proud tradition using modern materials, and that we should actively adopt the new technologies of the modern era.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the Gwanghwamun reconstruction project of 1968 represents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cal thinking to Korea’s architectural style, and has two objectives. The first is to summarize the reconstruction process and method using the records and drawings from the 1968 project, which was then under the leadership of architect Kang Bong-jin.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style and structure of the reconstructed Gwanghwamun so as to re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radition and modern techn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