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7년 상속세 및 증여세법 판례 회고 (Review of Cases in 2017 Involving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12
43P 미리보기
2017년 상속세 및 증여세법 판례 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무학회
    · 수록지 정보 : 세무학연구 / 35권 / 4호 / 41 ~ 83페이지
    · 저자명 : 유철형

    초록

    2017년도에 선고된 대법원 판결들 중에서는 구 상증세법 제2조 제4항의 우회거래나 다단계 거래에 관한 실질과세 원칙 및 명의신탁 증여의제에 관한 판결이 특히 눈에 띈다.
    먼저 우회거래나 다단계 거래에 관한 실질과세 원칙인 구 상증세법 제2조 제4항을 정면으로 다룬 2개의 판결 중 대법원 2017. 1. 25. 선고 2015두3270 판결은 구 상증세법 제2조 제4항의 입법취지를 상세히 밝히면서 당해 사안에의 적용을 부인하였다. 그러나 이어 선고된 대법원 2017. 2. 15. 선고 2015두46963 판결은 구 상증세법 제2조 제4항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면서 당해 사안에의 적용을 긍정하였다. 위 2개의 판결은 모두 원칙적으로 당사자들이 선택한 법률관계를 존중하여야 하고, 여러 단계의 거래 이후 나온 결과만을 가지고 그 실질이 증여라고 쉽게 단정해서는 안 된다는 것으로서 구 상증세법 제2조 제4항의 적용을 엄격하게 제한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위 2015두46963 판결이 제시한 구 상증세법 제2조 제4항의 구체적인 적용기준은 동일한 내용을 규정한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을 적용하는 사안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해석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명의신탁 증여의제와 관련하여, 대법원 2017. 1. 12. 선고 2014두43653 판결은 명의신탁자가 사망하여 명의신탁 주식이 상속된 경우에는 명의개서해태 증여의제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고, 대법원 2017. 2. 21. 선고 2011두10232 판결은 명의신탁 주식을 처분한 대금으로 동일인 명의로 주식을 매수하는 행위를 반복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명의신탁 증여의제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명의신탁 증여의제와 관련한 위 판결들은 대체로 증여의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입장으로 보인다. 또한 대법원 2017. 5. 11. 선고 2017두32395 판결은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에 의하여 명의개서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 제출일을 증여의제일이라고 판시하였고, 대법원 2017. 7. 18. 선고 2015두50290 판결은 명의수탁자의 상속인이 한정승인을 한 경우에도 명의신탁자의 연대납세의무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판시하였다.
    대법원 2017. 4. 20. 선고 2015두45700 판결은 대법원 2009. 3. 19 선고 2006두19693 전원합의체 판결에 이어 특정법인을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규정에서 증여재산가액을 산정하는 근거인 시행령을 다시 한번 무효라고 판시하였고, 대법원 2017. 4. 20. 선고 2011두21447 판결은 공익법인의 증여재산가액 불산입과 관련하여 출연자와의 특수관계 여부 판단시점을 출연 전이 아닌 출연 이후라고 판시하였다.
    2017년도에 선고된 상증세법 관련 주요 대법원 판결들을 검토한 결과 조세법의 기본원칙에 비추어 볼 때 수긍이 가는 판결도 있으나, 일부 판결들은 입법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까지 관여한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입법적인 조치가 필요한 부분은 법원이 무리하게 해석하지 말고 조속히 입법으로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Among the Supreme Court decisions in 2017, judgments on the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with respect to roundabout transactions and multi-level transactions pursuant to Article 2(4)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IGTA”) and deemed gift tax on title trust are especially notable.
    First, among the two judgments dealing directly with the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for roundabout or multi-level transactions pursuant to Article 2(4)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IGTA), Supreme Court Decision 2015Du3270, decided January 25, 2017, clearly indicated the legislative intent of Article 2(4) of the IGTA and denied its application to the matter. However, the Supreme Court decision issued shortly thereafter, 2015Du46963, decided February 15, 2017, affirmed its application to the matter at hand and presented specific criteria for the application of Article 2(4) of the IGTA. The above two judgments provide a strict and limited interpretation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Article 2(4) of the IGTA, prior to its amendment, based on the position that, in principle, the legal relationships chosen by the parties should be respected and that a transaction involving several stag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gift mer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application criteria proposed in 2015Du46963 is significant in that the same criteria is set forth in applying Article 14(3) of the Basic National Tax Act and is expected to be interpreted in the same manner.
    With respect to the deemed gift issue for title trust,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4Du43653, dated January 12, 2017, held if the title trust holder dies and the trust becomes subject to inheritance, in principle, the deemed gift provisions for failure to transfer title do not apply. Further, the Supreme Court held in 2011Du10232, dated February 21, 2017, that the deemed gift provisions for title trust do not apply, in principle, where funds derived from the disposal of shares in such title trust are used to purchase shares under the same name. Based on the above, the Supreme Court is seen to be limit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deemed gift provisions. In addition, Supreme Court Decision 2017Du32395, dated May 11, 2017, held that where title transfer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share transfer statement, the date of the deemed gift falls on the date of submission of such share transfer statement. Supreme Court decision 2015Du50290, dated July 18, 2017, held that there is no impact to the joint liability of the title trust holder even in the case where the beneficiaries of the title trustee provide limited authorization.
    In 2015Du45700, dated April 20, 2017, the Supreme Court affirmed its previous decision 2006Du19693, dated Mary 19, 2009, by deciding that the enforcement decree used as grounds for computing the gifted asset value in the deemed gift provisions for gains through specific companies to be invalid. Further, Supreme Court decision 2011Du21447, dated April 20, 2017,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non-inclusion of deemed asset value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in inheritance tax base, that the question of when the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contributing party began is following contribution and as opposed to before contribution.
    In reviewing the major Supreme Court decisions in relation to the IGTA, this paper considers the significance and issues raised by the decisions. Although some of the decisions are agreeable in consideration of the basic principles of the tax law. However, the Supreme Court seems to have become involved in certain decisions that should have been addressed by legislation. It is advisable for legislative action that needs to be taken to be addressed by legislation as opposed to unreasonable interpretation by the cou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무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