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투자협정 50년: 평가와 과제 (Fifty Years of Korea’s Investment Treaties: A Study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06
30P 미리보기
한국의 투자협정 50년: 평가와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통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통상연구 / 22권 / 2호 / 19 ~ 48페이지
    · 저자명 : 김관호

    초록

    한국은 1964년 독일과 양자간투자협정을 체결한 이래 약 50여년의 기간 동안 FTA 차원에서의 투자협정을 포함하여 100여개 이상의 투자협정을 체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기간 동안 한국 정부가 투자협정에 접근한 동기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의 투자협정 정책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한국은 주요 선진국들과 외교관계의 강화와 경제개발을 위한 포괄적인 경제협력 차원에서 투자협정을 체결하였다. 외국인직접투자의 유치라는 투자협정의 본원적인 동기는 단지 부차적인 동력이었다. 한국경제가 자본잉여국으로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졌던 1980년대 중반 이후 10여년의 기간 동안 한국은 후발개도국 및 체제전화국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투자협정을 체결하였다. 이들 협정들은 이전 시기 선진국들과의 투자협정 체결 경험의 학습을 기초로, 경제외교의 추구라는 한국의 정책적 목표에 맞게 적응된 모방의 성격을 갖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외국인직접투자의 경쟁적 유치의 정책적 수단으로서 투자협정에 접근하였고, 투자 자유화의 의무를 포함하는 미국형 고수준의 투자협정의 체결을 통해 경쟁국들에 대한 우위를 추구하였다. 2006년 미국과의 한미 FTA 협상은 한국 정부가 투자협정의 잠재적인 주권 비용 측면에 진지하게 접근하는 계기가 되었고, 타국의 투자협정 분쟁 사례에 대한 학습을 통해 투자협정 내용의 법적 명확화를 추구하였다. 즉 한국 정부의 투자협정에 대한 접근 방향은 외교에서 경제, 그리고 최근에는 법적 측면으로 정책의 방점이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한국의 경우 개도국의 투자협정 체결의 논리와 성격에 관한 주요 가설들에 그다지 부합하지 않는데, 이는 다른 개도국들에 비해 투자협정 체결에 있어 시대적으로 앞선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Korea concluded its first bilateral investment treaty with Germany in 1964. Since then, Korea has signed more than one hundred bilateral investment treaties and investment chapters in FTAs. This paper traces the evolut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investment treaty policies, focusing on the motivations behind the treaties. In the 1960s and 1970s, Korea was motivated to sign BITs with major developed countries by a desire to enhance diplomatic ties and to obtain supports for economic development. The intrinsic benefit of investment treaty, attrac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received only minor attention. Over the decade from the mid-1980s to the mid-1990s, Korea has become a capital surplus economy and actively concluded BITs with less developing countries and transitional economies. Learning experience from the BITs with developed countries was adapted to the Korea’s position as an advanced developing country. Economic diplomacy was a major driving force behind those treaties. It was not until the late 1990s, when the Korea economy was hit by a financial cris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approaches investment treaty as a tool in the competition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Korea sought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he adoption of high-standard investment treaties including obligations of investment liberalization. The potential sovereignty costs of investment treaties have not been seriously considered before the FTA negotiation with the US in 2006. Learning from the experience of other countries hit by investment treaty claims, Korea was motivated to seek more legal precision. The main aspect of policy considerations shifted from diplomacy to economy and then to law. This paper argues that major hypotheses on investment treaty adoption by developing countries are not well-suited to the Korean case because Korea has been ahead of most other developing countries in adopting the trea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