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열과 자위의 여성적 글쓰기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재미 여성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Feminine writing of division and masturbation -the works of Korean-American female writersfrom the late 1990s to the mid-2000s-)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9
47P 미리보기
분열과 자위의 여성적 글쓰기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재미 여성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74호 / 323 ~ 369페이지
    · 저자명 : 장혜련

    초록

    본 연구는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 번역된 재미 여성 작가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적 글쓰기와 정체성의 탐색이 어떻게 연동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시아계 미국인이면서 동시에 여성이라는 차별적 지위가 이들의 정체성 분열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90년대 후반부터 21세기에 접어들며 이들의 여성적 글쓰기 탐색 과정이 어떠한 국면으로 변화를 맞이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학 장의 확대와 다성성을 수용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들의 작품은 미국과 한국에서 소수자의 언어로 소비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남성 권력 중심의 사회에서 차별받는 여성의 목소리라는 점에서 더욱더 외면받는 실정이다. 이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읽어 한국 문학의 지평을 넓혀야만 할 때이다.
    여성적 글쓰기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모성의 근원 찾기이며 재외동포 여성 작가들도 예외는 아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이민 1세대가 아닌 1.5세대나 2세대 작가들이 모성의 근원을 찾는 과정에서 작품의 배경을 일제 식민지나 6.25에 두고 있는 경우가 많다. 부모 세대가 어떠한 역사적 부침을 겪었는지 상상하여 자신의 기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그다음은 60, 70년대 한국을 배경으로 한 가족 서사 만들기이다. 유년 시절을 한국에서 보낸 1.5세대의 경우 기억 속 한국은 어머니의 사랑이 숨 쉬는 따뜻한 공간으로 묘사된다. 그곳은 영원히 돌아갈 수 없는 노스탤지어의 공간이다. 역사적 복원과 가족 서사의 복원을 꾀한 이들은 그다음 본격적으로 자신의 정체성 찾기에 나선다. 해외입양인으로서, 이민자로서 겪는 갈등은 이들을 한국과 미국,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이방인으로 만들고 있다. 이들 작품을 ‘모성찾기’와 ‘정체성 찾기’의 2장으로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link between feminine writing and the search for identity in translations of the works of Korean-American female writers from the late 1990s to the mid-2000s. It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subordinate status of female Asian Americans on the divisions that emerge in their identity, and changes in their feminine writing process and focus in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1st centur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literary filed and accepts femineity by focusing on the works of overseas Koreans, especially for Korean-American female writers, which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o this point. Their suffering has been subsumed into the language and hardships of minorities in the US and Korea, and it is even more neglected because it emerges from the experience of women who are discriminated against in a society centered on male power. However, it is time to broaden the horizon of Korean literature by actively listening to their voice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feminine writing is the exploration of motherhood, and this is also true of overseas female Korean writers. However, interestingly,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2nd generation writers often set their work against the background of Japanese colonial rule or the Korean War, as do the ‘1.5th’ generation, although 1st generation writers do not. They explore their origins by imagining the historical hardships of their parents’ generation, and they also often write about Korean family narrative in the 1960s and the 1970s. In the case of the ‘1.5th’ generation who spent their childhood in Korea, the country is described as a warm place filled with mother’s love, based on their memories. It is a place of nostalgia to which they cannot ever go back. The conflicts they face as foreign adoptees and immigrants made them aliens who do not belong in either Korea or the U.S., but after seeking to constitute their origin story and to establish their family narrative, they begin to build their identity in earnest. Two categories of this work are identified in this study, with each being discussed in a dedicated chap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