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종우의 1920~1930년대 작품 연구 (A study on the Works of Lee Chong-Woo in the 1920~193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7
27P 미리보기
이종우의 1920~1930년대 작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43호 / 175 ~ 201페이지
    · 저자명 : 황유정

    초록

    설초 이종우(雪蕉 李鍾禹, 1899-1981)는 1910년대 후반부터 1920년대 후반까 지 2번의 해외 유학 이후 귀국하여 조선 화단에서 활동을 이어나갔다. 그의 행적 중 1925년부터 1928년까지의 프랑스 유학은 가장 주요한 요소로 서술되어왔으나 이는 단편적으로만 언급되어왔고, 이후의 활동에 대해서는 주로 교육자로서의 역 할이 주목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이종우가 가장 의욕적으로 활동했던 시기를 1920년대뿐만 아니라 1930년대까지로 확장하여, 작가로서의 활동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유학과 귀국에 따라 시기별로 변화한 그의 작품의 특성을 조명했다.
    연구는 1920년대 초중반에 제작되었던 일본 유학 시기의 작품과 1920년대 중후 반에 제작된 프랑스 유학 시기의 작품, 그리고 귀국 이후 1930년대 국내에서의 작 품과 활동을 비교하여 분석했다. 먼저 이종우는 고등보통학교에서 4년간 기초 도 화 교육을 받은 후 1년간 일본 교토에서 선행 학습을, 그리고 4년간 동경미술학교 에서 수학하며 실력을 쌓았다. 이때 그는 당시 일본에서 서양화의 규범으로 수립 되어 있던 외광파 화풍을 습득했으나 후반기에 들어서는 신경향에 반응하며 기존 의 것으로부터 탈피하였다. 이후 프랑스에서는 동시기 유럽 화단의 일면인 고전으 로의 회귀 경향에 따라 사실주의적 화법을 연마하고 일본에서의 체득 내용으로부 터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그는 귀국 후 화단으로부터 부정적 평가를 받 자 색채, 소재, 기법 면에서 또 다른 시도를 이루었고 지속적으로 조선의 유화 제 작과 서양화단의 기능에 일조하였다.
    본고는 이종우가 작가로서 보여온 선택과 그 결과로 만들어온 작품을 유기적으 로 분석함으로써 그 양상에 대한 면밀한 이해를 제시하고자 했다. 1920-1930년대 의 이종우는 창작을 멈추거나 교육자의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화단에서의 실험, 흡수, 소통을 지속했으며,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 활동과 작품세계는 당대의 복합 적인 화단 양상을 단적으로 시사한다. 시대에 따라 조응한 미술가의 연구를 통해 근대기 서양화단의 생태에 다각적으로 접근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Seolcho Lee Chong-woo(1899-1981) returned to the Korean Peninsula after studying abroad twice from the late 1910s to the late 1920s and continued his activities in the Joseon art field. Among his activities, studying in France from 1925 to 1928 has been describ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but this has only been mentioned in fragments, and his role as an educator has been mainly noted for later activitie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pand the period during which Lee Chong-woo was most enthusiastic to the 1920s as well as the 1930s, presenting specific aspects of his activities as a painter and intensively examining the world of his work.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that have changed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studying abroad and returning to Joseon will be investigated.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works from the Japan period, which he moved to Japan in 1917 and stayed until the early to mid-1920s, works from the France period in the mid to late-1920s, and works from the Joseon period in the 1930s after returning home. First of all, Lee Chong-woo, who grew up in a leading family, studied in Kyoto, Japan for one year after receiving four years of basic drawing education at a high school in Joseon, and studied at the Tokyo Art School for four years. At this time, he tried to acquire Pleinairism which was established as the norm of Western-style painting in Japan at the time, but in the latter part, he grew out of it and tried another style. After that, he tried to make Realistic paintings based on the revival of Classicism in France at the time and to depart from the styles that had been acquired from Japan. However, after returning home, he quickly made another attempt in terms of color, material, and technique to fit in with the art world of Joseon, continuing to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Western-style paintings of Joseon and the function of the art field.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a solid understanding of his works by analyzing the choices Lee Chong-woo has shown as a painter. In the 1920s and 1930s, Lee Chong-woo continued to experiment, absorb, and communicate in the Joseon art field without stopping creation or settling for an educator’s position, and this little-known activity and works clearly suggests that various trends coexisted in the art filed in the time.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play a role in making it possible to approach the environment of modern Western-style painting of Joseon in various ways with the research of an artist who have responded according to th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