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00년대 近代 都市의 주변과 거주민의 삶-光武 7년(1903) 漢城府 城外 戶籍을 중심으로- (A Study on Surroundings and Dwellers’ Life of Modern City in the 1900s -With focus on outside-the-walls family register of Hanseongbu in 7 KwangMu era(1903)-)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02
30P 미리보기
1900년대 近代 都市의 주변과 거주민의 삶-光武 7년(1903) 漢城府 城外 戶籍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4호 / 573 ~ 602페이지
    · 저자명 : 김현진

    초록

    본고는 光武 7년(1903) 漢城府 6坊 城外 지역에 거주하였던 1,716명의 호주 개인 정보를 분석하여 근대 초기 한성부 공간 속에서 나타나고 있었던 공간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고, 이러한 내용을 성외 지역에 거주했던 이들의 집단적 삶의 방식으로 이해하였다.
    당시 성외 지역 호주의 개인정보를 분석한 결과, 성외 지역에서 나타난 삶의 집단적 양상은 첫째, 성외 지역 내에서 거주 이동의 폐쇄성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성외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 외부로부터의 이주 사례가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동일 지역 내에서 거주지를 선택하는 사례는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거주지 이동의 폐쇄성은 성외 지역에 거주하였던 이들의 계층적 특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성외 지역은 상업과 농업 등 지역에 속박된 특정 직업계층의 집중으로 거주민들 사이에서 동일한 사회․경제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성외 거주민에서 나타난 동일한 사회․경제적 관계는 지역적 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거주지 이동의 폐쇄성이 높게 나타나게 된 원인으로 추정되며, 당시 성외 지역에서 나타난 공간적 특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당시 성외 지역은 특정 직업에 의한 공동체 관계 형성과 함께 성내 지역과 유사한 도시화 성격을 보이며 한성부의 도시 공간으로 재편성되는 과도기적 단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성외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었던 인구와 부의 집중화 현상 그리고 가족형태 등으로 나타났다.
    결국, 당시 성외 지역의 공간적 구조와 특성을 성외 호주 1,716명의 분석을 통해서 보았을 때, 성외 지역은 특정 직업계층의 집중으로 인한 공동체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성내 지역과 차별화된 특수성을 보임과 동시에, 인구와 부의 집중화 그리고 근대적 가족형태 등 성내 지역에서 나타난 보편적 도시화 특징도 함께 나타나고 있었다.
    당시 성외 지역에 나타난 공간적 보편성과 특수성은 성외 지역이 더 이상 성내 지역의 주변이 아니라, 한성부의 도시 공간 속으로 완전히 편입하여 독자적인 지역성을 보이는 도시화 단계로 성장하는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und out spatial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manifested in the space of Hanseongbu in early modern times by analyz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1,716 heads of household who lived outside the walls of Hanseongbu 6 villages in 7 KwangMu era(1903), and understood such contents as a way of collective life of those who lived in the area outside the walls of a castle tow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heads of households living in the area outside the walls at that time, first, the collective aspect of life appearing at the area outside the walls was found to be characterized by the very high closure of residence movement within the area outside the walls. Also,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a fewer cases of migration from outside in the area outside the walls comparing to other areas, whereas there were not a few cases of choosing a residence within the same area in the area outside the wall.
    Also, it was found that the closure of residence movement was closely linked with the hierarchical characteristic of those who lived in the area outside the walls. The area outside the walls was forming the same social, economic relations among the dwellers due to the centralization of the specific occupational class tied to the area for commerce and agriculture, etc.
    The same social, economic relations shown from the dwellers living outside the walls are presumed to be the reason for the high closure of residence movement through the formation of a local community, and such a phenomenon explains a spatial distinct characteristic appearing from the area outside the walls at that time.
    Second, this study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en outside-the-walls area was showing a transitional phase where the area was re-organized into the urban space of Hanseongbu while showing the urbanization character similar to the inside-the-walls area, together with the formation of community relations by specific jobs. Such a point was exposed as a population, concentration of wealth, and family forms, etc. appearing at the area outside the walls.
    After all, looking at the spatial structure & characteristics of the then outside-the-walls area, it was found that the outside-the-walls area was showing specificity differentiated from the inside-the-walls area by forming community relations due to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occupational class. and simultaneously showing even the universal urbanization characteristics together appearing at the area inside the walls, such as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 wealth, and modern family forms, etc.
    Conclusively, it is judged that the spatial universality & specificity appearing at the area outside the walls at that time explains the aspect of growth into the urbanization phase showing independent locality through its being incorporated into the urban space of Hanseongbu complet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