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유년생활동화에 나타난 시선의 의미화 - 이태준, 박태원, 현덕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gaze’ in Instructive stories of Juveniles during the 1930s ― Focusing on the stories of Lee Tae―joon, Park Tae―won and Hy eon Deok)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03
25P 미리보기
1930년대 유년생활동화에 나타난 시선의 의미화 - 이태준, 박태원, 현덕의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63호 / 61 ~ 85페이지
    · 저자명 : 이미정

    초록

    이 글에서는 1930년대 유년생활동화에 나타난 ‘시선 ’을 살펴보았다 . 1930년대아동문학에서는 유년 아동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 그리고 더 나아가 그들을 다양한 방향에서 ‘응시 ’했다 .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태준 , 박태원 , 현덕의 유년생활동화에서도 유년 아동에 대한 시선 , 그 응시의 의미화가 나타나 있다 . 이태준의 시선에는 ‘애착 ’이라는 의미론적 핵이 담겨 있다 . 이태준의 작품에서는 엄마와 유년 아동 사이에애착관계가 이루어진다 . 애착관계의 특징 중 엄마의 ‘안전기저 ’ 역할이 부각된다 . 박태원의 작품에서는 ‘자유로운 움직임’의 시선이 두드러진다 . 이를 바탕으로 빠른 속도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 그의 유년생활동화에서는 사고와 행동의 자유로운 전환이 시선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
    현덕은 유년 아동에게 자기중심적 사고와 이타적 성향이 공존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 유년 아동은 비일상적인 놀이 세계를 구현한다 . 또한 자신을 과시하고 , 과대평가한다는 특성을 보인다 . 그러나 타인의 마음을 헤아리는 친사회적 행동을 하기도한다 . 현덕은 이러한 복합적 특징들을 현실의 ‘살아 있는 ’ 아동에게서 포착해 냈다 .
    이태준 , 박태원 , 현덕의 유년생활동화에는 다양한 의미론적 핵을 담은 시선이 나타나 있다 . 이 시선들은 공통적으로 1920년대를 상징했던 ‘민족과 계급의 아동’ 에서 ‘생활 속 아동’으로의 이동을 보여 준다 . 이는 곧 아동을 ‘정면으로 응시’하기시작했다는 의미이며 , 1930년대 아동문학의 중요한 의의기도 하다 .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gaze’ in Instructive stories of Juveniles during the 1930s.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30s began to recognize juveniles. And furthermore, they ‘gazed’ at juveniles in various directions. In this study, the viewpoints for juveniles and the Signification of the ‘gaze’ are shown in the children’s stories of Lee Tae―joon, Park Tae―won, and Hyun Doek. Lee Tae―joon’s eye contains the semantic cores of ‘attachment.’ In Lee Tae―joon’s work, an attachment is established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tachment relationship, the ‘safety base’ role of the mother is highlighted. The work of Park Tae―won shows ‘vigor and transition.’ vigor comes from the fast transition. In his children’s stories, we can see the vigor that comes from the rapid transition. Hyun Deok notices that juveniles coexist with a self―centered thinking and a altruistic tendency. Juveniles embody non―daily play world. Also they show off and overestimate themselves. But they have prosocial behavior that reads the mind of others. Hyun Deok captures these complex features from a ‘living’ child of reality. Instructive stories of Juveniles of Lee Tae―joon, Park Tae―won, and Hyun Deok show diverse views of semantic cores. The views commonly indicate a shift in the awareness that symbolized the 1920s from ‘a child of a nation and a class’ to ‘a child in a real life.’ This means that the writers have begun to ‘gaze at children face to face’ and it is an important significance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3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