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의 일본열도가 본 ‘한국전쟁’ ―1950년대에 발행된 일본 문예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War’ seen by the Japanese Archipelago in the 1950s -focusing on Japanese literary magazines published in the 1950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2
29P 미리보기
1950년대의 일본열도가 본 ‘한국전쟁’ ―1950년대에 발행된 일본 문예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文化學報 / 96호 / 203 ~ 231페이지
    · 저자명 : 소명선

    초록

    本論文は1950年代の日本の文芸誌に発表された小説作品を通して「朝鮮戦争」がどのように語られているのか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文献調査を行った雑誌は6種の中央文芸誌(『新潮』、『群像』、『文藝』、『文学界』、『世界』、『中央公論』)、戦後民主主義文学運動のなかで創刊された『新日本文学』、サークル運動の中央紙とも言える『人民文学』等である。『新日本文学』と『人民文学』では朝鮮戦争を第3次世界大戦の口火と見る視線が多かった。中央文芸誌の場合、朝鮮戦争への視線は6つの形─戦争拡散への危機意識と恐怖、反米・反戦・反基地闘争の中の「朝鮮戦争」、プリズムとしての在日朝鮮人、戦争参加と協力に対する文学的証言、米軍基地の島・日本の現実への告発、日本の戦争を喚起させる契機─として現れていた。朝鮮戦争を眺める日本人の視線から発見される顕著な特徴は朝鮮戦争の戦火が日本に広がることへの恐怖である。そしてこれらの文芸誌の特徴として挙げられることは、国際情勢の中で戦争の意味を捉えようとする姿は見えるが、朝鮮戦争が発生した原因と背景を歴史的観点から把握しようとする試みは見当たらないという点である。これは祖国の戦争を眺める在日朝鮮人の視線との相違点でもある。ほとんどの作品において韓国戦争というモチーフは日本の戦争の記憶を召喚する装置、米軍基地によって発生する社会問題を語る装置として機能していることに止まっている。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how ‘the Korean War’ was dicussed through novels published in Japanese literary magazines of the 1950s. The magazines examined include six central literary magazines ("Shincho", "Gunzo", "Bungei", "Bungakukai", "Sekai", "ChūōKōron"), "Shinnihonbungaku" which was launched during the postwar democratic literary movement, and "Jinminbungaku," the central newspaper of the Circle Movement. In "Shinnihonbungaku" and "Jinminbungaku", ‘the Korean War’ was regarded as the trigger for World War III. In the case of the central literary magazines, the gaze of ‘the Korean War’ was shown in six forms:crisis and fear of the spread of the war; ‘the Korean War’ in anti-American, anti-war, and anti-base struggles; Zainichi Koreans as a prism; literary testimony about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ccusations against the reality of Japan on the U.S. military base island; the occasion to evoke Japan’s war. The most remarkable feature found in the Japanese view of ‘the Korean War’ was the fear of it spreading to Japan. Moreover, they endeavored to understand ‘the Korean War’ in an international context, but did not attempt to grasp the cause and background of the war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is is also the diffe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Zainichi Koreans regarding ‘the Korean War’. In most of the works, the motif of ‘the Korean War’ functions as a device to summon memories of Japan's war and to discuss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presence of th U.S. military b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文化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