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수 유입량 변동으로 인한 경포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1998년과 2012년도의 비교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with Inflow of Sea Water in Gyoungpo Lake; Comparison between 1998 and 2012)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2
9P 미리보기
해수 유입량 변동으로 인한 경포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1998년과 2012년도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수생태학회
    · 수록지 정보 : 생태와 환경 / 47권 / 48 ~ 56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이규송

    초록

    동해안 석호 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시공간적인 수체의 환경요인의 변화에 매우 빠르게 반응하여변한다 . 경호교에 설치한 보의 철거로 해수의 유통이 되기 전과 후인 1998 년도와 2012 년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밝히기 위하여 두 해의 4 월부터 11 월까지일주일 간격으로 수체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을조사 비교하였다 . 1998 년과 2012 년도의 4 월부터 11 월까지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각각 99 종과 80 종이었고 , 공통적으로 출현한 식물 플랑크톤은 40 종이었으며 1998 년과 2012 년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유사도 지수는 0.465 로 수체환경요인의 변화로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크게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1998 년도와 2012 년도의 수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 특히 2012 년도는 1998 년도 보다 염분도가 증가해 해수성 수질로바뀌었고 1998 년도에 비해 pH 는 다소 낮아졌고 , 투명도는 증가하였으며 , SS, NO 3 -N - 그리고 N/P 비는 낮았다 . 그러나 2012 년도에도 갈수기인 4 월과 5 월에는 상대적으로 염분도가 낮아지고 영양염류 함량이 증가해 SS 와 Chl. a 의 함량이 높아져 투명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구성하는 주요 종을 대상으로 ordination 을 시행한 결과 1998 년도 군집이 조사시기에 따라 보다 큰 변동을 한 반면 2012 년도에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의 군집을 나타내었다 . 그 이유는 2012 년도에는 보의 철거로 인하여 해수의 유통량 증가와 전환속도의 증가로 인한 수체환경의 안정성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Gymnodium sp., Peridinium sp., Prorocentrum sp., Nitzschia longissima, Schroederia setigera, Lyngbya sp., Asterococcus limneticus, Asteroco- ccus superbus 및 Cyclotella meneghiniana 는 2012 년도의 염분도가 높은 경포호의 수체에 잘 적응하는 종임을확인할 수 있다 . 또한 Asterrionella formosa, Nitzschia frustulum, Chlorella ellipsoidea, Scenedesmus bijuga 및Scenedesmus ellipsoideus 상대적으로 염분도가 낮은1998 년도의 경포호의 수체에 잘 적응한 종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1998 년도와 2012 년도의 염분도가다른 수체를 구분하는 데 유용한 종은 Peridinium sp., Prorocentrum sp., Nitzschia longissima 및 Schroederia setigera 의 4 종으로 이들은 모두 2012 년도에의 염분도가 높아진 경포호에서만 출현하는 종이었다 . 경포호에서식물플랑크톤 군집이 크게 상이하게 변하는 시기는 담수의 유입량이 적고 해수위가 낮아져 수체에 영양염류함량이 높아지는 봄철과 홍수로 인하여 유역으로부터유입되는 담수의 양이 증가하는 시기인 여름이라고 할수 있다 . 따라서 봄철에는 수체환경의 관리가 집중되어야 하고 , 홍수기 에는 담수의 대량 유입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에 유의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Weekly changes of water environment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with the salinity gradientswere investigated at Gyoungpo Lake from April to November in 1998 and 2012. Underwater crossam inGyoungpo Lake was removed in 2004. Thereafter, average salinity of Gyoungpo lake increased from 7.5 pptin 1998 to 20 ppt in 2012. A total of 99 and 80 species of phytoplankton was observed from the sampled in1998 and 2012, respectively. The number of common species during the 2 separate years was 40. Transparency,SS, NO3-N concentration and N/P ratio in 2012 were lower than those in 1998. During the period of watershortage (April, May) of 2012 transparency decreased due to decreased salinity and increased SS and Chl. a.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pecies and community scores of DCA ordination based on data matrix of thephytoplankton revealed larger variation among sampling seasons in 1998 than in 2012. The increase of seawaterinflux and conversion rates following the removal of the underwater crossbeam might explain such a differentialvariation. Gymnodium sp., Peridinium sp., Prorocentrum sp., Nitzschia longissima, Schroederia setigera, Lyngbyasp., Asterococcus limneticus, Asterococcus superbus and Cyclotella meneghiniana were found to well adapt atthe high salinities in 2012. Comparatively, Asterrionella formosa, Nitzschia frustulum, Chlorella ellipsoidea,Scenedesmus bijuga and Scenedesmus ellipsoideus were observed at lower salinities in 1998. Two quite contrasting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found in the two seasons of a year, spring with limited precipitationand summer, the flood sea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태와 환경”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