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60년 웅진강구 전투 검토 (A Study on the Battle of Woongjin Ganggu in 660)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08
35P 미리보기
660년 웅진강구 전투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61호 / 77 ~ 111페이지
    · 저자명 : 이승훈

    초록

    웅진강구의 위치에 대한 논의는 백강의 위치와 함께 학계의 오랜 관심사였다. 이 글에서는 이에 대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지정학적 근거를 토대로 웅진강구 일대의 지형을 당시 모습으로 복원하여 보았다. 복원된 지형 위에 당군이 어느 지점을 통해 상륙하여 백제군을 격멸하고 교두보를 확보한 이후에 전투에서 승리하여 상륙작전을 완수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웅진강구가 지금의 금강 하구가 아닌 금강 중류라는 가정하에 이를 증명하기 위해 당항성(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당성)과 일본의 히라카타(枚方)시의 위치, 선사 및 고대 금강 남안의 유적지 위치 등을 지정학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과거의 기록과 도시 및 城의 기능 등을 고려할 때 해수면의 높이가 지금보다 7m 정도 높아졌을 때의 지형환경이 당시의 지형환경과 거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금의 논산시 은진면의 옛 이름인 덕은과 시진의 위치를 확인하고 활발한 포구였던 시진포가 지금은 내륙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근거로 시진포가 포구로서의 역할을 하려면 해안선이 역시 약 7m 정도 높아지는 수준의 지형 변화가 있어야만 가능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금의 논산시 성동면 일대부터 금강이 급격하게 넓어져서 성동면 이북의 물줄기와 이남의 물줄기가 확연하게 차이가 나 성동면 이북의 물줄기를 웅진강, 이남의 물줄기를 백강(또는 바다)라고 인식하지 않았을까 추정하였고 이러한 추정을 바탕으로 성동면 주변이 웅진강구임을 확인하였다.
    즉, 웅진강구 전투는 지금의 논산시 석성면 일대에서부터 성동면, 은진면에 이르는 곳에서 발생하였다는 것으로 조수의 흐름을 활용한 당군이 만조의 조류를 따라 북상하여 선봉이 7월 9일 술시(오후 8시 내외) 어간 웅진강구에 도착하였다고 보았다. 이들은 신라군의 진군 속도를 확인하며 공격의 시기를 판단했을 것인데 백제군에 의해 진출이 막힌 신라군이 교두보 확보를 할 수 없을 것임을 확인한 소정방은 7월 10일 미시에 조수를 타고 북상하여 별동대를 활용해 지금의 부여군 석성면의 파진산을 점령, 백제 방어선의 후방을 타격함으로써 백제 방어선을 붕괴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의직으로 판단되는 백제군의 방어 사령관은 지형을 활용하여 당군의 예상 상륙지점에 방어 병력을 배치하였고 이를 통해 황산벌에서의 백제군과 같이 웅진강구를 방어하는 백제군 역시 용맹한 모습을 보여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나당연합군의 작전계획이 얼마나 치밀했는가와 그 효용성이 높았음을 확인하는 근거가 되었고 반면 나당연합군의 연합작전을 와해시킬 뻔 하였던 백제군의 대응 역시 허술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지정학적인 근거를 통해 당시의 지형을 복원하는 시도는 유의미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금강 중류의 지층과 물줄기의 흐름 흔적에 대해 천착하면 백강을 정확히 비정할 수 있는 근거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영어초록

    Setting the location of Woongjin-gang(River) has been a long-standing concern for academia, along with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Baek- gang(River). 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existing research. Based on geopolitical grounds, the topography of the Woongjin-gang(River) area wa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rough this, we examined the process of winning the battle after securing a bridgehead to see where the Dang(唐)army landed and defeated the Baekje(百濟) army.
    In order to prove that Woongjin-gang(River) is the middle stream of the Geum-gang(River), not the estuary of the Geum-gang(River) today, the topography of the time and the topography of the time when the height of the sea level increased by about 7m compared to the current inland area. Based on the fact that Sijinpo(市津浦), which was an active port at the time, is now located inland, it was confirmed through map records that in order for Sijinpo(市津浦) to play a role as a port, the coastline must be raised by about 7m.
    Through this, it was speculated that the Geum-gang(River) was rapidly expanded from the current Seongdong-myeon(城東面)area in Nonsan-si(論山市), and that the water stream north of Seongdong-myeon(城東面) and the water stream south of Seongdong-myeon(城東面) were clearly different, and the water stream north of Seongdong-myeon(城東面) was called Woongjin- gang(River), and the water stream south of Seongdong-myeon(城東面) was called Baek-gang(River), and based on this spec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around Seongdong-myeon(城東面) was Woongjin-gang(River).
    In other words, the battle of Woongjin-ganggu(熊津江口) took place in the current area of Seongdong-myeon(城東面), Nonsan-si(論山市), and the Dang army using the tide flow moved northward along the tide, and the leading force arrived at Woongjin-ganggu(熊津江口) on the evening of July 9. They confirmed that the Silla army's bridgehead would be impossible and reported it to So Jeong-bang(蘇定方). On the afternoon of July 10, So Jeong- bang(蘇定方) led the main force north by the tide and used a separate band to occupy Paginsan(破陣山) Mountain in Seongsan-myeon(城山面), Buyeo- gun(扶餘郡), and hit the rear of the Baekje(百濟) defense line, thereby compressing the Baekje(百濟) army back and forth and collapsing the Baekje(百濟) defense l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