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70년대 문학장과 최인훈 - 1970년 전후 『사상계』 문학 비평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Field of the 1960s~1970s and Choi In-hun - Focused on the Literary Criticism in Sasanggye before and after the Year in 1970)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12
48P 미리보기
1960~70년대 문학장과 최인훈 - 1970년 전후 『사상계』 문학 비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6호 / 43 ~ 90페이지
    · 저자명 : 배지연

    초록

    본 논문은 문학텍스트는 그것이 생산되는 문학장의 다양한 맥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1960~70년대 문학장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던 최인훈 소설에 대한 논쟁적 지점과 최인훈의 소설 및 비평 사이의 상관성에 주목했다. 특히 1970년대 리얼리즘 논쟁을 추동한 1970년 『사상계』 4.19 기념 좌담과 관련된 당대 비평담론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응하여 생산되는 최인훈 소설 및 희곡들을 문학적 반응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1970년을 전후로 한 『사상계』 문학특집란은 1960년대 한국문학을 결산하고 1970년대 한국문학의 가능성을 점검하는 계기로 마련되었는데, 이러한 비평의 맥락에서 최인훈과 그의 문학은 주요한 지점에서 호명되고 있다. 세대론적 전략으로 1960년대 작가를 우위에 두었던 4.19세대 비평가들에 의해 최인훈은 문학의 미학적 근거와 사회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포섭한 중간세대 작가이자 한국문학의 가능성을 보여준 작가로 평가된다. 무엇보다도 최인훈 소설은 당시 리얼리즘 개념과 범위를 둘러싼 논쟁 속에서 중층적으로 독해됨으로써 당대 비평적 지형을 가늠할 표지로서 기능한다.
    소설양식파괴에 대한 비판적 문제 제기에 대해서 최인훈은 희곡 양식을 전유하거나, 신문 등 각종 매체를 활용하는 한편, 허구와 사실을 횡단함으로써 소설양식의 한계치를 실험하는 등 자신의 문학텍스트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궤적들은 최인훈 문학이 리얼리즘으로 대표되는 소설적 재현의 방식이나 특정방식으로 고착화된 문학 관습에 대해 끊임없이 저항했음을 방증하는 바, 당대 문학장과 최인훈 문학 사이의 관련성을 보다 미세하고 다양한 지점에서 논구함으로써 ‘최인훈과 그의 시대’를 조망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영어초록

    With considering that a literary text is closely related to diverse contexts in a paragraph with its production,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controversial point over Choi In-hun's novel, which had been continuously made in the literary field of the 1960s~1970s, and to a correlation between Choi In-hun's novel and review. Especially, the contemporary critical discourse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April 19 anniversary discussion of Sasanggye(思想界) in 1970 that gave an impetus to the argument over realism in the 1970s. Choi In-hun's novels and plays, which are produced in accordance with it, were inquired in the aspect of a literary response.
    Sasanggye(思想界) before and after the year in 1970 was arranged the space that settles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and inspects possibility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Choi In-hun and his literature are being called at a major point. Choi In-hun is evaluated as a writer in middle generation who positively embraced an aesthetic ground and a social function in literature, and as an author who showed probability of Korean literature, by critics in the April 19 generation that had given advantage to the writers in the 1960s with a generational strategy. Among others, Choi In-hun's novel is comprehended dually amidst a controversy surrounding a concept and a scope of realism in those days, thereby functioning as the cover that will weigh up a critical terrain at that time.
    Choi In-hun is actively coping with this contemporary criticism through own literary text. In terms of what a critical issue is presented for the destruction in the novel form, Choi In-hun experimented the threshold value of the novel form through exclusively possessing the play form, through utilizing several media such as newspaper or through traversing a fiction and a fact. These series of tracks are giving circumstantial evidence to what Choi In-hun's literature continued to kick against a method of novelistic re-creation, which is represented as realism in the contemporary literary world, or against the fixed literary custom with a specific meth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