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근 10년간 한국인의 지역별·소득수준별 김치섭취 변화: 2005년,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Shifts in Kimchi Consumption between 2005 and 2015 by Region and Income Level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2015))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04
14P 미리보기
최근 10년간 한국인의 지역별·소득수준별 김치섭취 변화: 2005년,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22권 / 2호 / 145 ~ 158페이지
    · 저자명 : 박정현, 이해정

    초록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2005년)와 제 6기3차년도(2015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전체, 지역별, 소득수준별 10년간 김치 섭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치 총 섭취량에 대한 개별 김치의 섭취비율은 2005년에는 배추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나박김치, 총각김치 순으로 높았고, 2015년에는 열무김치까지는 2005년과 동일하였으나 그 다음이 총각김치, 동치미 순이었다. 배추김치 섭취비율은 낮아지고 그 외 다른 김치 섭취비율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국민의 김치 섭취량은 최근 10년간 통계적으로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더욱 많이 감소하였다.
    지역별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은 16개 시·도 중에서서울, 부산, 인천, 광주, 경기, 제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감소하였고, 대구, 경북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동’ 지역과‘읍·면’ 지역 모두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읍·면’ 지역의 남자에게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섭취량 변화가 없었다.
    소득수준별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변화는 ‘하’, ‘중하’, ‘중상’, ‘상’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감소량은 ‘중하’, ‘상’에서 가장 높았고, 보정 후에는 ‘중하’, ‘중상’에서 가장높았다. 2015년 김치 섭취량은 ‘하’에서 가장 높았다. 소득수준 그룹 간의 김치 섭취량을 비교했을 때, 2005년도에는그룹간 차이가 없었고, 2015년에는 ‘상’과 ‘하’ 그룹의 김치섭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으로 볼 때, 최근 10년간 한국인의 김치 섭취량은 감소되는 추세이고, 성별로는 여자에게서, 지역별로는 대도시에서의 감소폭이 컸던 반면, 농·어촌 비율이 높은 지역의 김치 섭취량, 특히 남자 김치 섭취량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득수준 그룹 간의 김치 섭취량이 과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근에는 유의하게 차이가있었다.
    앞으로 김치의 나트륨 함량은 줄이면서 맛과 건강에 좋은최적의 발효 공정을 개발하고 지역의 특산 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김치를 개발하는 동시에 가정에서도 활용 가능한 김치요리 레시피를 보급하며 김치를 포함한 균형된 식사 교육 등의 노력을 통해 한국의 우수한 전통음식인 김치를 계승·보전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importance of kimchi as a traditional food in Korean cuisine has gradually decreased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economic growth and changes in dietary pattern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hifts in kimchi consumption by region and by income level between 2005 and 2015 in Korea.
    Method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III (2005) and VI (2015) were used in the study (n=15,558). Intake of kimchi was estimated using a single 24-hour dietary recall. The sample weights were applied in all analyses to reflect population estimate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IBM Statistics 20.
    Results: Kimchi intake h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27.6 g/day per capita during the last decade in Korea; 25.0 g for males and 29.9 g for females, respectively. Over the past decade, the decline of kimchi intake has been particularly significant in Seoul, Busan, Incheon, Gyeonggi, and Gwangju, while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males living in rural areas. The consumption of kimchi across all income levels has decreased, however, the decrease was higher in ‘middle and low income level’. The amount of kimchi consumption in 2015 was the highest in ‘low income level’. The results were similar after adjusting for gender and age.
    Conclusions: For the past decade, the overall intake of kimchi in Korea has decreased,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crease of kimchi intake for males living in the rural area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n order to keep our traditional kimchi culture and promote a balanced diet including kimchi for Korea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efficient policies and approaches. A variety of dishes using kimchi should be developed, besides merely serving kimchi with rice as a side dish,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kimch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