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동의 녀왕> 연구 (A Study on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09.12
37P 미리보기
&lt;해동의 녀왕&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30호 / 301 ~ 337페이지
    · 저자명 : 임철호

    초록

    <해동의 녀왕>은 조선족 민간문학 작가 최준이 1968년 손남수 할머니로부터 수집한 이야기를 정리한 조선족설화이다. 최준은 중국에서 태어나 중국식 교육을 받고, 중국과 한국의 고소설을 읽은 조선족 민간문학 작가로, 조선족의 구비설화를 수집하여 조선족설화로 정리하였다. <해동의 녀왕> 원자료를 제보한 손남수는 경상도 어느 시골에서 이주한 조선족으로, 어린 시절 고향에서 고소설을 비롯한 많은 이야기를 들었던 구술자이다.
    <해동의 녀왕>의 내용과 구조는 고소설, 특히 여성영웅소설과 유사하다. 제보자가 글을 몰랐기 때문에 고소설을 직접 읽고 구술했다고 볼 수는 없다. 작가 또한 여성영웅소설을 읽은 적이 없었기 때문에 특정 작품을 모방하여 정리했다고 볼 수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동의 녀왕>이 여성영웅소설과 유사한 것은 제보자가 지닌 탁월한 기억력과 작가적 능력 때문이다. 손남수는 어린 시절 글을 아는 동네 노인이나, 전문적으로 책을 읽어주던 이야기꾼으로부터 고소설 이야기를 들었을 것이다. 제보자 손남수는 탁월한 기억력으로 어렸을 때 들었던 소설의 내용을 기억하고 있다가 작가에게 구술하였다. 작가 최준은 손남수가 구술한 이야기를 정리하면서 세부 묘사와 인물의 이름 등 극히 일부 내용에만 개입하였다.
    <해동의 녀왕>의 주요 모티프는 모두 <구운몽>을 비롯한 여성영웅소설에 있는 내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동의 녀왕>과 같은 내용의 작품은 보이지 않는다. 이는 손남수가 자신이 알고 있는 고소설의 많은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구술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남수가 작가적 역량을 발휘하여 의도적으로 재구성했는지, 아니면 구술 과정에 자연스럽게 재구성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해동의 녀왕>은 여성영웅소설 <김희경전>, <녀장군전>, <설소저전>, <월영낭자전>, <이봉빈전>, <이학사전>, <정비전>, <홍계월전> 등과 유사하다. 이들 작품 가운데 <녀장군전>, <홍계월전>은 다른 작품에 비하여 <해동의 녀왕>과 공유되는 내용이 더 많다.
    <해동의 녀왕>에서 복중 정혼, 적강 모티프, 자객의 귀순과 승리, 여왕 제수, 고부간의 갈등 이야기는 고소설의 내용에서 변이된 것이다. <해동의 녀왕>의 변이에는 특정 모티프의 내용과 구조를 제대로 알지 못하여 생긴 경우도 있고, 중국사회의 반봉건 이데올로기, 조선족의 민족의식과 민중의식이 개입되면서 생긴 경우도 있다.
    <해동의 녀왕>은 고소설의 전개에서 유사한 작품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손남수와 최준은 기존 작품에 있는 모티프만으로 기존 작품의 내용과 구별되는 <해동의 녀왕>을 만들었다. 손남수와 최준과 같은 사람들은 고소설이 향유되던 시기에도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해동의 녀왕>이 형성된 것과 같은 배경과 과정에서 기존의 고소설과 유사하면서도 변별력이 있는 작품들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background and the development of the formation of The Queen of Haedong. This is a folk tale of Chosunjok whose origin can be traced back to the ancient novels. This folk tale is collected and recorded by Choi Jun who heard the story from an old woman, Son Namsoo.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Queen of Haedong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a heroic novel whose protagonist is a heroine. As Son Namsoo was illiterate and Choi Jun had never read a heroic novel, Son Namsoo didn't say what she had read and Choi Jun didn't copy any ancient heroic novel.
    Son Namsoo remembered what she heard from some minstrelsy and old people when young, and Choi Jun recorded what Son Namsoo said without altering anything but correcting the characters' names, some details and the sentences.
    The motif of The Queen of Haedong is very similar to that of a heroic novel whose protagonist is a heroine, but no story has the same structure as this folk tale. This means that Son Namsoo reorganized many stories and had the creative ability of an author's.
    The novels which are similar to The Queen of Haedong in motif are The Life of Kim Heekyung, The Life of a Brave Woman, The Life of Sulsojeo, The Life of Wolyoungnangja, The Life of Lee Bongbean, The Life of Lee Haksa, The Life of Jungbee and The Life of Honggyewol.
    In The Queen of Haedong, we can find some clues how some works whose contents and structure are similar were created in the development of ancient novels. Though Son Namsoo didn't invent a new motif, she produced The Queen of Haedong which was very different from other folk tales.
    In this folk tale, there are expressed the popular consciousness and racial sense of Chosunjok as well as Women's feeling of superiority over men. It's because The Queen of Haedong is the record of the oral folk tale of Chosunjok. There is no trace of medieval rules and morals which are basic elements of a heroic novel whose protagonist is a hero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