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태복음 1:23의 ‘동정녀’와 ‘처녀’라는 용어의 유래에 대하여 (Where Does the Korean Term Dong-Jeung-Nyeo (동정녀) or Cheo-Nyeo (처녀) in Matthew 1:23 Come Fro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7.10
25P 미리보기
마태복음 1:23의 ‘동정녀’와 ‘처녀’라는 용어의 유래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재)대한성서공회 성경번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성경원문연구 / 41호 / 75 ~ 99페이지
    · 저자명 : 이환진

    초록

    The Biblical Greek parthenos (παρθένος) in Matthew 1:23 is rendered as either Dong-Jeung-Nyeo (동정녀) or Cheo-Nyeo (처녀) in Korean Bible translations like the Older Version (1906, 『구역 신약』), the Revised Version (1938, 『셩경개역』), and the Common Translation (1977, 『공동』), and etc. The two Korean words mean virgin or maiden. As we know, Matthew 1:23 in the Greek New Testament quotes LXX Isaiah 7:14, which has the Hebrew term almah (המלע), presumably referring to a young woman.
    The Korean term Cheo-Nyeo (처녀) seems to come from the Old Chinese Marshman and Lassar’s Version (1822), which is followed by later Chinese versions of the Bible including Delegates’ (1852) and Bridgman and Culbertson’s (1863) versions. But most of the Chinese versions read the Greek word as 童女, even though the Contemporary Chinese Bible (『当代译本』) issued in 2011 has the word 童贞女 in Isaiah 7:14 and Matthew 1:23.
    In contrast, Japanese Bibles have words like 處女 and 乙女 in Matthew 1:23. Both words are pronounced O-to-me (おとめ) nowadays. The Japanese Colloquial Version (1955) and the New Common Translation (1987) do not use Chinese characters but Japanese Hiragana script in the translated text. Interestingly enough, only the Japanese New Testament (1911) translated by the Dutch missionary Emile Raquet reads the Greek parthenos as 童貞女.
    The Common Prayer of the Church of England translated into Chinese by J. S. Burdon entitled 『教會禱文』(1872) has the word 童貞女 (동정녀) in a section of the Apostles’ Creed. In addition, the Anglican Church in Korea issued a book called 『죠만민광』(照萬民光) in 1894. The latter book, a translation of the Anglican Church’s shortened New Testament, Lumen Ad Revelationem Gentium (A Light To Lighten The Gentiles) also has 동정녀 (童貞女) within the creed mentioned above.
    We can therefore assume that the Korean term 동정녀 (童貞女) might have come from the Chinese 『教會禱文』(1872) or the Korean 『죠만민광』 (1894) in that its use has begun to appear in the New Testament (1906) of the Korean Older Version amo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영어초록

    The Biblical Greek parthenos (παρθένος) in Matthew 1:23 is rendered as either Dong-Jeung-Nyeo (동정녀) or Cheo-Nyeo (처녀) in Korean Bible translations like the Older Version (1906, 『구역 신약』), the Revised Version (1938, 『셩경개역』), and the Common Translation (1977, 『공동』), and etc. The two Korean words mean virgin or maiden. As we know, Matthew 1:23 in the Greek New Testament quotes LXX Isaiah 7:14, which has the Hebrew term almah (המלע), presumably referring to a young woman.
    The Korean term Cheo-Nyeo (처녀) seems to come from the Old Chinese Marshman and Lassar’s Version (1822), which is followed by later Chinese versions of the Bible including Delegates’ (1852) and Bridgman and Culbertson’s (1863) versions. But most of the Chinese versions read the Greek word as 童女, even though the Contemporary Chinese Bible (『当代译本』) issued in 2011 has the word 童贞女 in Isaiah 7:14 and Matthew 1:23.
    In contrast, Japanese Bibles have words like 處女 and 乙女 in Matthew 1:23. Both words are pronounced O-to-me (おとめ) nowadays. The Japanese Colloquial Version (1955) and the New Common Translation (1987) do not use Chinese characters but Japanese Hiragana script in the translated text. Interestingly enough, only the Japanese New Testament (1911) translated by the Dutch missionary Emile Raquet reads the Greek parthenos as 童貞女.
    The Common Prayer of the Church of England translated into Chinese by J. S. Burdon entitled 『教會禱文』(1872) has the word 童貞女 (동정녀) in a section of the Apostles’ Creed. In addition, the Anglican Church in Korea issued a book called 『죠만민광』(照萬民光) in 1894. The latter book, a translation of the Anglican Church’s shortened New Testament, Lumen Ad Revelationem Gentium (A Light To Lighten The Gentiles) also has 동정녀 (童貞女) within the creed mentioned above.
    We can therefore assume that the Korean term 동정녀 (童貞女) might have come from the Chinese 『教會禱文』(1872) or the Korean 『죠만민광』 (1894) in that its use has begun to appear in the New Testament (1906) of the Korean Older Version amo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원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