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드라마 연극텍스트(Postdramatik)의 무대화 특징- 엘프리데 옐리네크(Elfriede Jelinek) 작 《겨울 나그네》번역 공연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Postdramatic Performance Taken from Postdramatic Text - Focused on the Korean Adaptation in Performance of by Elfriede Jelinek)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06
25P 미리보기
포스트드라마 연극텍스트(Postdramatik)의 무대화 특징- 엘프리데 옐리네크(Elfriede Jelinek) 작 《겨울 나그네》번역 공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극교육연구 / 36권 / 36호 / 89 ~ 113페이지
    · 저자명 : 김정섭

    초록

    본 논문은 포스트드라마 연극텍스트, 즉 포스트드라마틱(Postdramatic)과 포스트드라마 연극(Postdramatic theatre) 공연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중요한 연구 목표로 삼았다. 연구 논제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대표적인 포스트드라마틱 극작가 엘프리데 옐리네크(Elfriede Jelinek)의 《겨울 나그네Winter Journey》와 그것의 공연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옐리네크의 연극텍스트의 중요한 특징은 비재현성이다. 상호텍스트적으로 생산된 텍스트는 콜라주 마냥 분절적이고 파편적인 선행텍스트로 구성된다. 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물과 이야기가 불분명한 채 어떤 화자가 독백하든 텍스트는 길게 이어지면서 비재현성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옐리네크 포스트드라마틱의 상호텍스트성이 재현할 인물과 대상을 불분명하게 만들어 비재현성을 야기한다. 연출가는 이러한 텍스트를 자신의 공연을 위한 재료로 사용하면서 포스트드라마 연극을 완성해 가는 것이다.
    포스트드라마틱의 특성이 어떻게 포스트드라마 연극 공연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토론하기 위해 국내 번안 공연을 사례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첫 번째 무대화 특징은 비재현성의 재현성이다. ‘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을 달리’ 하는 옐리네크의 연극공연에서는 연극텍스트가 발화된 비재현적 언어의 현존(소리성)과 인용된 어떤 인물 행동의 재현 또는 모방(mimesis)이 충돌한다. 이러한 옐리네크 포스트드라마틱 무대화는 바로 텍스트의 비재현적인 것이 관객 각자에게 자신만의 고유한 연상작용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자신의 머릿속에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고, 즉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 특성은 옐리네크 포스트드라마틱에 내재한 다성성이 등장인물들의 대화나 장면을 모놀로그-코러스적인 혼합방식으로 특징 지운다는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에서 기인한 텍스트의 다성성이 무대화의 가능성을 다변화시키면서 장면연출을 더욱 다채롭게 열어 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는 포스트드라마틱의 기본적인 성향을 고찰하고 그것이 연극 공연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엿볼 수 있었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국외 포스트드라마틱 국내 번안 공연을 사례분석으로 삼은 본 연구는 해외 포스트드라마틱 수용과 관련하여 국내 포스트드라마적인 연극현장의 실천적인 가능성을 높이고 연극학계의 이론적인 지평을 확장하는 데 작게나마 이바지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e main goal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dramatic playtext and its postdramatic performance in Winterreise[Winter Journey] written by an Austrian playwright Elfriede Jelinek.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of Jelinek’s playtext is non-reproducibility. Text created by intertextuality consists of preceding passage of text that is segmental and fragmentary like a collage. In the text, specific characters and stories don’t reproduce clearly. No matter what any character says, his(her) long lasting text reflects non-reproducibility strongly. The postdramatic intertextuality of Jelinek’s playtext makes the characters and objects unclear, causing non-reproducibility. The director uses the text as a source material to complete his own postdramatic performance.
    Discussing how the characteristics of postdramatic text affect a postdramatic theatrical performance, this study considers the Korean adaptation of Winterreise, directed by Jungsub Kim in 2019, as example of postdramatic performance.
    One of the traits of postdramatic performance is the reproducibility of non-reproducibility. In Jelinek’s postdramatic performance, a character’s words and actions rarely match. The existence of non-representative language created by Jelinek's playtexts clashes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character’s behavior. In this process, the non-representation of the playtext brings up an image that each audience may stimulate unique associations in his(her) mind.
    The other trait is the polyphony that exists in the Jelinek’s postdramatic playtexts and makes a hybrid form of monologue and chorus in the scene. The polyphony of playtexts derived from intertextuality can diversify the directions of the postdramatic performance with the director’s choice.
    The important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sic tendencies of postdramatic playtext and get a glimpse of its impact on relationship with its postdramatic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would be dedicated to enhancing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postdramatic performances and expanding the theoretical horizon in the world of theater study in Korea by utilizing Korean adaptation of the postdramatic playtext abro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극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