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양명의 네 가지 심체론 고찰 − 양지(良知)심체, 명영(明瑩)심체, 열락(悅樂)심체, 장경(莊敬)심체 − (An Inquiry into Wang Yangming’s Four Propositions on the Min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5.02
29P 미리보기
왕양명의 네 가지 심체론 고찰 − 양지(良知)심체, 명영(明瑩)심체, 열락(悅樂)심체, 장경(莊敬)심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121호 / 217 ~ 245페이지
    · 저자명 : 선병삼

    초록

    본 논문은 양지(良知)심체, 명영(明瑩)심체, 열락(悅樂)심체, 장경(莊敬)심체 네 가지 심체론을 가지고 양명학을 종합적으로 조망했다. 2장에서 세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1)주자학과의 비교에서는 주자가 명영심체는 긍정하지만 양지심체는 부정하고, 왕양명이 명영심체를 긍정하면서도 양지심체에 강조점을 두었음을 확인했다. 2)양명심학의 특성에서는 왕양명이 양지심체를 중심에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명영심체를 말년까지 논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3)양명후학 간 비교에서는 양지심체에 기반을 두면 귀적설은 왕양명 치양지설의 본지를 올바로 계승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귀적파가 왕양명이 설한 명영심체의 종지를 잘 계승했음을 확인했다. 3장에서 두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1)왕양명은 기본적으로 경외와 쇄락, 열락과 장경을 도덕성명(道德性命)이라는 입장에서 풀어나간다. 한편 왕양명이 성학을 추구한 도학자임은 틀림없지만, 송대와 대비되는 명대의 시대정신을 열락심체적 특징에서 살필 수 있다. 2)왕기는 당시 양명후학들이 양지본심의 명령을 따른다고 하면서도, 실상은 습심사욕(習心私欲)을 따르는 세태를 시정하고자 선천정심지학(先天正心之學)을 주장했다. 양지에 절대적으로 순종하는 의양지(依良知) 입장에 서면, 양지 본체만을 순종하고 따른다는 원칙은 하등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전히 양지 본체에 순종하고 인위적인 노력을 철저히 배제하는 치양지 공부의 구체적인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따라서 왕기의 선천정심지학을 잘못 운영하면, 자연(自然)과 계신공구(戒愼恐懼)를 길항으로 삼아, 장경심체를 거부하고 열락심체만을 강조하게 되어, 결국에는 창광무궤(猖狂無軌) 한 왕학말류의 폐단을 이루게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Yangmingism through the four theories of the mind-heart: the Liangzhi(良知) mind-heart, the Mingying(明瑩) mind-heart, the Yuele (悅樂) mind-heart, and the Zhuangjing(莊敬) mind-heart.
    First, the Liangzhi mind-heart focuses on the fact that Liangzhi, which is both essence and function(卽體卽用), possesses both inherent nature (本然性) and actualized nature(現成性). The Mingying mind-heart, on the other hand, highlights the idea that while the mind-heart is originally bright, clear, and unobstructed(明瑩無滯), in reality, it can be both in this state and not in this stat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the Liangzhi and Mingying mind-heart, Chapter 2 explores three main topics: Comparison with Neo-Confucianism: It was confirmed that Zhu Xi acknowledged the Mingying mind-heart but denied the Liangzhi mind-heart, whereas Wang Yangming affirmed the Mingying mind-heart but placed emphasis on the Liangzhi mind-heart.
    Characteristics of Yangming’s Mind Studies: Although Wang Yangming centered his philosophy on the Liangzhi mind-heart, he continued to discuss the Mingying mind-heart until his later years.
    Comparison among Yangming’s Later Discipl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angzhi mind-heart, the Guiji school(歸寂派) failed to properly inherit the true essence of Wang Yangming’s theory of extending Liangzhi(致良知).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Guiji school effectively carried forward the fundamental meaning of Wang Yangming’s Mingying mind-heart theory.
    Next, the Yuele mind-heart(悅樂心體) embodies the spirit of “singing in the wind and dancing on the terrace”(風詠舞雩), representing a harmonious, joyful, and pleasurable mind, akin to religious self-liberation(自在). The Zhangjing mind-heart(莊敬心體), on the other hand, embodies the spirit of “revering and serving the Supreme Being”(昭事上帝), representing a solemn, reverent mind, akin to religious piety(敬虔).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the Yuele and Zhangjing mind-heart, Chapter 3 explores two main topics: Wang Yangming’s Approach: Wang Yangming fundamentally approached reverence and delight, joy and solemnity,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 nature and destiny(道德性命). While there is no doubt that Wang Yangming was a Daodejunzi(道德君子) who pursued the study of sagehood, the spirit of the Ming dynasty—distinct from the Song dynasty—can be observ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Yuele mind-heart.
    Wang Ji’s Perspective: Wang Ji sought to rectify the tendency of some later Yangming scholars who, while claiming to follow the mandate of the innate Liangzhi mind, were in fact following their habitual personal desires(習心私欲). To address this, he advocated for the study of innate rectification of the mind(先天正心之學). From the standpoint of absolute obedience to Liangzhi(依良知), the principle of following only the fundamental essence of Liangzhi poses no issue. However, the problem remains that the specific scope of self-cultivation through extending Liangzhi(致良知) remains unclear, particularly in its absolute rejection of artificial effort. Consequently, if Wang Ji’s study of innate rectification of the mind is misapplied, it may lead to a confrontation between nature (自然) and cautious reverence(戒愼恐懼), ultimately rejecting the Zhangjing mind-heart and overemphasizing the Yuele mind-heart, resulting in the excessive and unrestrained deviations (猖狂無軌) seen in the later degeneration of Wang Yangming’s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