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미감형성에 미친 일본인의 미의식 연구 - 야나기무네요시의 ‘비애미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hetic Sense of Japanese People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Korean Esthetic Sense -with 'Beauty of Grief' by Yanagi Muneyoshi-)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05.02
19P 미리보기
한국미감형성에 미친 일본인의 미의식 연구 - 야나기무네요시의 ‘비애미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 / 1권 / 1호 / 197 ~ 215페이지
    · 저자명 : 오순화

    초록

    야나기의 한국미론은 ‘悲哀의 美’, ‘民藝 美’, ‘不二의 美’의 세 단계를 거쳐 변해 갔다. 이러한 그의 사상 중 ‘悲哀의 美’ 부분은 끊임없이 비판되어져 왔고, 또 지금까지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쳐왔다. 그의 저술 및 사상활동은 우리가 우리의 미감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고 우리의 미학연구에 시발점 역할을 하였다는 긍정적 측면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조선의 아름다움에 대한 애정을 빌미로한 식민사관의 동정적 시각이었고 이것을 문화지배의 논리로서 이용하였을 뿐이라는 주장으로 일관되게 비판되어 내려왔다.
    예술품의 감상은 주체적인 감상자의 시대. 사회. 계급집단. 문화배경 및 개인적 성격. 기질. 교양. 경력, 나아가서는 원래 가지고 있던 審美經驗과 審美理想 등등이 모두 커다란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야나기가 말하는 한국의 미감이 어떤 배경과 기질, 경험에서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본다면 그가 말하는 ‘조선의 미감’은 그 정체를 드러낼 것이다.
    일본인의 정서에는 수동적으로 입는 의무를 말하는 온(恩)과 태어나자마자 생기는 무제한 적인 의무인 기무(義務)와 제한된 부채를 의미하는 기리(義理), 그리고 중국이나 한국과는 전혀 다르게 변모된 일본의 진(仁) 개념 그리고 자신의 욕망의 만족을 죄악시하지 않는 생각, 행복에 대해 늘 조심하는 습성을 키워오게 된 행복부정론이 만든 부족주의 등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온, 기리, 기무 그리고 계층제도 속에서의 고통, 부족주의 등이 결국 ‘와비․사비’로 나타난 일본예술의 특징을 만들기도 하였고, 허락된 쾌락의 창구를 통해서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되어 화려하고 절제되지 않은 장식으로 발산되기도 하였다. 또한 그들은 질서와 계층제도에 대한 신뢰를 갖고 있어 이것이 자연스럽게 조선에 대해서도 어떠한 계층을 형성하기를 시도하였을 것이다. 이와 함께 일본에는 유겡(幽玄), 와비(侘)․사비(寂), 모노노 아와레(物の 哀れ)라는 일반화된 일본인들의 미의식이 있다. 이러한 적요감, 스산함, 부족감, 쓸쓸함, 비애감은 야나기 이외의 외국인의 시선에 비친 다양한 조선의 미감과는 다르게 ‘비애의 미’ - 선의 예술, 백색의 미, 감추어진 문양, 애수의 환원염 - 를 만들게 된 것이다.
    미의식은 시대가 변하고 인간이 변화하는 것과 같이 끊임없이 변화하여 절대적인 개념이 존재할 수 없다. 야나기를 둘러싸고 있던 시대의 상황, 정서, 미의식을 고찰해 볼 때 ‘비애의 미’는 당 시대의 가치관과 미의식으로부터 형성된 일본인, 야나기의 미의식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인의 적요감, 스산함, 부족감, 쓸쓸함, 비애감, 그리고 혼란스런 시대상황 속에서 만들어진 유겡, 와비․사비, 모노노 아와레의 미의식은 조선의 미술공예품을 보는 순간 충분히 감동하였을 것이며 야나기는 當代 일본인의 미감으로 조선의 미술공예품을 보았고 그러한 감동을 ‘悲哀의 美’라는 이름으로 조선의 미술공예품에 덮어씌운 것이다.

    영어초록

    The Korean Esthetic theory of Yanagi undergoes a change thorough 3 stages; the beauty of grief, the beauty of folk arts, and the beauty of non-duality. Among these 3 stages, the beauty of grief has been continually criticized, and also has had influence on us. Even though positive aspect is presented that his writings and ideological movement made us think of our esthetic sense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tarting our esthetic study, the controversy that they are a mere sympathetic view on the basis of colonial historical view under the pretense of beauty of Chosun, and were taken advantage of cultural dominance has been aroused consistently.
     
    It it said that in the appreciation of arts, the factors such as the era of subjective viewer, society, the group of class, cultural background and personality, disposition, refinement, career, and furthermore, inherent beauty experience, and beauty ideal play a great role. Accordingly, if we investigate the background, disposition, and experience of the Korean Esthetic Sense, suggested by Yanagi, we will reveal its true identity.

    There are several concepts: On(恩), which is the obligation, owed passively, Gimu(義務), which is the limitless obligation, generated with the birth, Giri(義理), which means the limited obligation in the sentiments of Japanese. In addition, the concept of virtue, which has the different form of China and Korea, the thinking way, which doesn't judge the person's satisfaction of desire as a sin, the principle of deficiency, which was created from the negation of happiness, being apprehensive of happiness, can be seen. Like this, On(恩) Giri(義理), Gimu(義務), the pain of class system, and the principle of deficienc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Japanese art that is characterized by 'Wabi(侘)sabi(寂)', and they were exploded as a splendid and unrestrained ornament so as to satisfy 5 senses through the window of allowed pleasure. In addition, on the account that Japanese people had the trust towards the order and class system, it is estimated that they made an attempt to create a certain class in Chosun naturally.
     
    There are other generalized beauty consciousness of Japan, called 'Yugeng(幽玄), Wabi(侘), Sabi(寂), Monono Ahwarae(物の哀れ). The sense of calm, chill, deficiency, loneliness, grief on the basis of Japanese beauty consciousness contributed to the beauty of grief, the art of line, the art of white, hidden pattern, and the reducing flames of pathos.
     
    The absolute concept of beauty consciousness cannot be existed because it is changed ceaselessly like the change of era and man. In consideration of circumstance, sentiment, and beauty consciousness of an era, surrounded Yanagi, it is found that 'The beauty of grief' is consistent to the esthetic sense of Yanagi, formed by the value and beauty consciousness of those days. It is considered that owing to the sense of calm, chill, deficiency, loneliness, grief, and the beauty consciousness of Yugeng(幽玄), Wabi(侘), Sabi(寂), Monono Ahwarae(物の哀れ), created amid the chaotic situation of times, he received a deep impression on korean art crafts. It is said that Yanagi appreciated Korean art crafts with a Japanese esthetic sense of those days and expresses his impression on it as a name of the beauty of grie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