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넨베르크의 희망의 종말론 이해 (Understanding of the Eschatology of Hope in Pannenberg's The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3.09
32P 미리보기
판넨베르크의 희망의 종말론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회사학회지 / 35호 / 133 ~ 164페이지
    · 저자명 : 이국헌

    초록

    본 연구는 20세기에 등장한 희망의 신학 중 판넨베르크의 희망의 종말론을 역사신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기독교 종말론은 현상학적으로 퇴보하고 있다.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의 문화화된 실존적 종말론과 존 다비의 세대주의 종말론은 모두 현대사회에서 기독교 종말론을 유의미하게 이끄는 데 실패했다. 이런 과정에서 급진주의 신학이 등장함에 따라 기독교의 희망마저 도전을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희망의 신학이 등장하였다. 희망의 신학은 역사와 종말론을 희망의 신학으로 재구축하면서 종말론에 대한 신학적 의미를 재구축하여 주었다. 미래의 역사로부터 오시는 하나님의 의미로 종말론에 입각한 희망의 신학을 구축한 몰트만과 보편사의 틀 속에서 기독교 신학의 희망을 이야기한 판넨베르크는 기독교 종말론을 희망의 신학으로 제시하는 데 앞장 선 학자들이다.
    특별히 판넨베르크는 보편사의 틀 속에서 희망의 종말론을 제시함으로써 현대신학에서 기독교종말론의 역사적 의미를 재구축해주었다. 판넨베르크의 희망의 종말론은 크게 두 가지 축에서 설명된다. 첫째는 보편사의 틀 속에서 이해된다. 인류의 역사를 보편사적 관점에서 볼 때 기독교는 희망종교가 된다. 둘째는 예수의 부활에서 희망의 종말론이 이해된다. 판넨베르크는 예수의 부활을 역사로서의 계시로 제시하여 이 신적 사건으로 보편사의 당위를 설명한다. 예수의 부활의 역사적 사실성에 기초해 하나님 나라의 완성으로까지 보편사를 이해함으로 판넨베르크는 희망의 종말론을 완성한다. 판넨베르크는 예수의 부활을 통해 하나님의 보편사적 계시가 선취됨으로써 그리스도인들은 미래에 도래할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기독교는 희망의 종교라고 보았다. 이런 그의 희망의 종말론은 보편사에 대한 이론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의 희망의 근거를 신학적으로 제시해준다.

    영어초록

    The Eschatology of Hope presented in Pannenberg's theology has a special meaning in the Christian eschatology. His eschatology of hope emerged in the historical context which needed a theology of hope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At that time, the Christian theology came to a crisis with emerging the radical theologies, such as theology of the death of God, the secular theology, after the era of the Neo-orthodox theology(or the existential theology). Therefore the theology of hope was required. Advocates of the theology of hope have emphasized the fact that there is a hope in the kingdom of God which will be coming in the future.
    Pannenberg presented the kingdom of God 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geschichte. The universal geschichte means history as a whole, that is a history connected the past and the present from the future. In this viewpoint of the universal geschichte, history becomes to be a revelation of God, that is "revelation as history." There is a great hope in our history, because human history is open to the future. According to Pannenberg, the kingdom of God as a ultimate hope of human history is in the future. However the hope has already been expected in the event of Christ's resurrection. The universal geschichte and the resurrection of Christ make Pannenberg's theology into the eschatology of hope. Through the theology, he emphasized that the Christian eschatology should be a theology of hope.
    The eschatology of Pannenberg as a theology of hope has led the Christian eschatology of 20th century to the hope for the future. The theology has overcome the theology of crisis and has solved the challenge of the radical theology. But it has failed to make Christianity as a movement of hope substantially. His eschatology of hope has been criticized as a historical optimism, because the universal geschichte presented by his revelation as history seemed to be the metaphysics of history. Furthermore, his theology of hope couldn't fulfill historic meaning of the Christian eschatology since the eschatology failed to embody the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mission to realize it. In spite of the limitation, his theoretic insight of the eschatology of hope has become an element of the Christian theological ho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회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