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과 인간의 유사성과 차이에 대한 신학적 고찰 ― 판넨베르크의 뺷조직신학뺸을 중심으로, 생태주의 인간론의 아포리아를 넘어 (A Theological Reflexion on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Nature and Humans: Focusing on Pannenberg’s Systematische Theologie to Overcome the Aporia of Ecological Anthropolog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9.06
43P 미리보기
자연과 인간의 유사성과 차이에 대한 신학적 고찰 ― 판넨베르크의 뺷조직신학뺸을 중심으로, 생태주의 인간론의 아포리아를 넘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55호 / 145 ~ 187페이지
    · 저자명 : 이용주

    초록

    생태주의적 관점은 20세기 중반 이후 신학적 논의를 이끌어온 핵심적인 요인들 가운데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태신학은 인간에 의해 자행된 광범위한 생태계 파괴의 현실에 직면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태중심주의’ 혹은 ‘세계중심주의’를 주창하면서 전통적인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고자 한다. 생태신학은 인간중심주의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던 것으로 여겨지는 전통적인 영혼- 신체-이원론 혹은 정신-물질-이원론을 비판하면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의존성 혹은 자연과 인간의 유사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생태주의적 인간론의 전략은 ‘인간의 자연화’라는 개념으로 정리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자칫하면 자연에 대한 인간의 구별성과 차이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 같은 인간의 특수성을 제거할 위험성을 그 안에 내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판넨베르크의 『조직신학』의 창조론과 인간론을 검토하는 가운데 자연과 인간의 연속성과 유사성을 이야기하면서도 동시에 자유와 같은 인간의 고유한 특징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탐색한다. 자연의 역사와 인간의 출현 그리고 개별 인간의 자기 의식과 자율적 실천 등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아들과 영의 지속적인 창조 활동의 결과로서 해석해내는 판넨베르크의 사상을 살펴봄으로써 자연과 인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균형 있게 이야기할 수 있는신학적 방안에 대한 전망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ological claim since the mid-20th century is the ecological one. Facing the catastrophic ecological crisis caused through massive destruction and exploi tation of nature by humans, ecological theology tries to over come the traditional ‘anthropocentricism’ while replacing it through ‘eco-centiricism’ sive ‘physico-centricism.’ To this end, ecological theology generally tends to emphasize similarities of humans with or their dependence on nature while criticizing mind-body-dualism or spirit-matter-dualism as theoretical pre supposition of anthropocentricism. The so-called ‘naturalization of humans’-strategy of ecological theology, however, shares the same theoretical weakness with scientific reductionist natu ralism: freedom, for example,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humans can be even denied, or might be reduced to the function of smallest material entities which might be regarded as constituent of human nature.
    This paper explores ‘doctrine of Creation’ and ‘anthropo logy’ of W. Pannenberg’s Systematic Theology and seeks the theological way to talk about human freedom to nature without denying human dependence on it. According to Pannenberg, humans are, on the one hand, in continuity with other creatures in the sense that they all are products of creating action of the Son and the Spirit. But humans as imago dei are, on the other hand, differentiated from other creatures in terms of their being representative who helps the whole creature take part in the Trinitarian communion of Father, Son and the Spirit. It will be argued that the emphasis on human independence and their difference from other creatures never leads to the exploitation of nature, but rather demands responsible action on the basis of human freedom in front of the Creator and His cre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