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생’에 대한 Gadamer의 존재론적 이해 - 인식론적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 - (H.-G. Gadamer's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Students - to pass the limit of an epistemological approach to students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0.04
23P 미리보기
‘학생’에 대한 Gadamer의 존재론적 이해 - 인식론적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권 / 1호 / 45 ~ 67페이지
    · 저자명 : 이상오

    초록

    교육은 ‘학생에 대한 이해’로부터 비롯된다. 왜냐하면 대상도 파악하지 못하고 교육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계몽주의 이후 우리는 사유는 ‘실증주의적으로 변용된 인식론적 차원’에 급격하게 편중되어 왔다. 특히 자연과학의 발달은 이에 큰 몫을 했다. 그러나 학생은 항상 교사의(인식의) 대상일 수만은 없다. 심지어 학생이 인식론적 반성을 통하지 않은 ‘인식론적 오류’의 논리 속에서 접근된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개체로서의 학생은 교사의 인식대상 이외에도 스스로 드러나는 ‘존재’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생은 ‘반성적 인식’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존재론적 차원’에서 이해될 때 온전해질 수 있다. 전자는 또 다른 연구테마로서 본 연구에서는 제외된다. 존재론적 해석학자인 H.-G. Gadamer에게서 존재 본질에의 접근을 구체화시켜주는 것은 ‘대화’이다. 그러나 그의 대화는 누군가가 주도하고 이끄는 대화가 아니다. 대화 또는 대화의 장은 ‘세계’로서 미리 존재하고, 그 안에 개체(현존재)가 기투된다. 따라서 대화는 인간의 삶에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이렇게 본다면 인간은 ‘대화의 동물’이다. 대화 속에서 학생지평(역사, 경험, 전통)과 교사지평 간의 융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평융합은 이해의 기본 조건이다. 즉 (진정한) 학생 이해는 대화에 참여한 학생지평과 교사지평 간의 모순이 스스로 지양되면서 지평융합될 때 비로소 이루어진다. 이로써 학생 이해를 위한 존재론적 접근도 성취된다.

    영어초록

    In general, education begins with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If we have no idea of students as educational objectives, we fail to educate them. Historically, our thought in daily life or in science has largely depended on the manipulated epistemology since the enlightenment. Especially our scientific development has played a great role in generating such trend. However, students must not always be the objectives who teacher observes and recognizes.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can be correct, if they are to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eacher and students can not be separated for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in the ontological dimension. To this end, our study approaches to the history of the ontological thought with the interpretative method. According to H.-G. Gadamer, a representative ontological philosopher, teacher has to continually interpret the tradition (history, experience, horizon) of student's life and endure till the merger of all horizons existing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Concretely, teacher must not see students only through his own eyes und he must hold his own justice and conclusion until they reveal themselves. For Gadamer, the approach to 'Being' (Sein) is to be realized and achieved through 'dialogue'. However, his dialogue is not to be led or initiated by someone or subjects. Dialogue exists already in the world and persons are being thrown in the field of dialogue continually. In this logic, human being is the animal of dialogue. Accordingly, dialogue is not an area of choice, but a necessity. Teacher's and students' meet and merge each other in dialogue. Here the merger of horizons is the condition of understanding. In short,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is able to be performed when the removal of contradiction generating in all horizons can be automatically realized - 'Aufhebung' in the Hegel's meaning - and finally merged. Thus the ontologic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of students is also achie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