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에서 점의 진화 -강박행동을 넘어 심리적 통합으로 (Evolution of Dots in Kusama Yayoi’s Works -Beyond the Compulsion Towards the Psychological Integrat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3.05
21P 미리보기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에서 점의 진화 -강박행동을 넘어 심리적 통합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22권 / 1호 / 133 ~ 153페이지
    · 저자명 : 정수경

    초록

    본 논문은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들이 1982년 처음 선보인 <호박>을 전후로 서로 다른 양상과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1973년 일본으로 돌아온 그녀가 1977년 자진하여 정신병원에 종신 입원했다는 전기적 사실과 몇 년의 입원 치료 후 선보인 <호박>과 이후 작품들의 달라진 조형성에 대한 게슈탈트 이론적 분석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호박>을 기준점으로 이전의 작품들은 그녀의 강박장애에 관하여 치유적이기보다는 징후적인 작품들로, 이후의 작품들은 심리적 통합을 보여주는 치유적인 작품들로 간주한다. <호박> 이전의 작품들에 비해 이후의 작품들에서는 작가의 조형적 통제력이 훨씬 잘 발휘되었으며, 불안을 표상하는 요소와 안정을 표상하는 요소가 작품에서 조형적으로 통합되고 있다. 또한 <호박> 이전의 작품들에서 점이 대상을 압도하여 대상의 형상이 등장하지 못했던 것과 달리 이후의 작품들에서는 점이 대상의 형상을 구현하는 조형 요소로 사용된다. 작품 제목에 있어서도 <호박> 이전의 제목들이 대부분 <무한>, <무한그물망>, <집적> 등 강박 환영 자체를 표상하는 것이었던 데 비해 이후의 제목들은 다양한 대상을 지칭하는 것을 거쳐 상징적인 의미를 담는 제목에까지 나아가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근거로 본 논문은 1982년 작 <호박>을 쿠사마 야요이 작업의 핵심 모티프인 점이 진화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works of Kusama Yayoi after Pumpkin(1982) have different appearances and significance from the works before Pumpkin. Based on the biographical fact that in 1977 she voluntarily decided to be confined to a psychiatric hospital for the rest of her life and the gestalt theoretical analysis on the changed conformation of the works after a few years’ hospital treatment, this paper regards the works before Pumpkin(1982) as symptomatic ones of he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rather than as therapeutic ones, and the works after Pumpkin(1982) as healing ones showing the psychological integration. In the later ones the plastic control of the artist is much better demonstrated, formal integration of contrasting element of anxiety and comfort is achieved. In the former works before Pumpkin, the dots overwhelmed the objects that the figure of any object cannot appear. But in the later works, the dots are used as plastic elements to give shape to the objects. The titles of the works have been evolved from representing the obsessive fantasy of her like Infinity, Infinity Net, Accumulation, etc., via referring the various objects to conveying the symbolic meaning in the titles. Based on all this changes this paper evaluates Pumpkin(1982) as a critical turning point in Kusama Yayoi’s artistic career where the dots –the primary motif of Yayoi- has evol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미디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