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차이와 다양성의 평화적인 공존 :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을 넘어 (Peaceful Coexistence of Difference and Diversity : Beyond Habermas’ Critical Theo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4.02
28P 미리보기
차이와 다양성의 평화적인 공존 :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을 넘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88호 / 963 ~ 990페이지
    · 저자명 : 김진훈

    초록

    계시와 이성의 관계는 주로 편향적 관계를 맺어왔다. 자유주의 신학은 이성으로 계시를 억압해서 이성을 통한 계시의 완성을 목표로 하였고, 이와 반대인 복음주의 신학은 계시를 통한 이성 비판으로 계시 안에 이성을 편입시키려고 하였다. 하지만 삼위일체의 정립 과정을 보면 기독교는 양태론이나, 종속론같이 어느 한쪽에 치우친 것이 아니라 한 분 하나님과 삼위의 하나님이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계시에서 주장하는 관계적 삼위일체는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들이 행위와 자유의 중심체로서 서로 상호교통 가운데 단일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는 세 위격 간의 친밀한 관계 즉, 사랑의 교류를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이 관계적 존재인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신학적 관점으로 이성이 주장하는 합리성을 비판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성의 힘을 믿는 학자인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는 의사소통 행위이론에서 이성을 가진 행위자들이 각각의 영역인 객관세계, 사회세계, 주관세계에서 각각의 합리적 행위로 사회가 구성된다고 보았다. 하지만 그는 각각의 합리성을 의사소통 합리성 단 하나로 환원시킨다.
    이는 하버마스가 주장하는 타자에 대한 환대에서도 같은 문제를 발생한다. 그는 나와 전적으로 다른 타자의 차이 다양성을 인정하지 못하고, 타자를 동일성으로 환원시켜 타자에 대한 환대가 아니라 폭력적 억압을 행사한다. 그러므로 하버마스의 행위이론은 타자와의 상호이해를 가져오지도 못하고 타자를 받아들이는 자세도 가질 수 없다.
    결론적으로 계시와 이성 어느 한쪽으로 편입시키지 않는 기독교의 관계적 삼위일체의 주장은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합리성이 폭력적인 것을 비판함과 동시에 차이 다양성과 동일성을 동시에 주장할 수 있는 진정한 합리성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revelation and reason has always been a violent one. Liberal theology aimed to complete revelation through reason by suppressing revelation through reason, while evangelical theology, on the contrary, attempted to incorporate reason into revelation by criticizing reason through revelation. However, looking a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Trinity, Christianity is not biased towards one side like modalism or subordinationism, but can be seen as a relationship between one God and three Gods.
    The relational Trinity claimed in revelation asserts that the three persons of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have unity in mutual communication as the center of action and freedom, and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persons, that is, the exchange of love. We can see that God is a relational being.
    From this theological perspective, we can criticize the rationality claimed by reason. Jürgen Haberma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believes in the power of reason, saw in hi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hat society is formed through the rational actions of agents with reason in their respective domains: the objective world, the social world, and the subjective world. However, he reduces each rationality to a single communicative rationality.
    The same problem arises in Habermas's hospitality to others. He fails to acknowledge the difference and diversity of others who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me, and reduces others to sameness, thereby exercising violent oppression rather than hospitality toward others. Therefore, Habermas' theory of action cannot bring about mutual understanding with others, nor can it have an attitude of accepting others.
    In conclusion, Christianity's claim of a relational Trinity that does not incorporate either revelation or reason can be said to be a true rationality that can criticize the violence of Habermas's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simultaneously assert difference, diversity, and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