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권의 재판규범성 ― 자유권・사회권 이분론을 넘어 ― (Justiciability of Social Rights —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Liberal Rights and Social Rights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9.03
35P 미리보기
사회권의 재판규범성 ― 자유권・사회권 이분론을 넘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노동법연구 / 46호 / 223 ~ 257페이지
    · 저자명 : 이주영

    초록

    사회권은 헌법과 한국 정부가 비준한 국제인권법상에 명문화된 기본적인 권리이다. 하지만 사회권은 국가 행위의 정당성을 심사하고 권리구제를 동반하는 재판규범으로 잘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사회권은 자유권과 달리 그 규범적 내용이 모호하고, 국가의 적극적 행위와 재정을 요구하기에 재판규범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인식이 아직도 학설과 재판실무에서 뿌리 깊게 자리 잡혀 있는 데 상당 부분 그 원인이 있다. 현대 인권 보장의 시대는 모든 기본권의 실효성 있는 보장을 위해 국가의 적극적 행위와 재정의 투입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자유권과 사회권에 대한 도식적 이분론은 넘어설 필요가 있다. 사회권에 대한 헌법심사는 대의제를 통해 잘 대표되지 못하는 가난하고 취약한 사람들의 현실에 관심을 쏟게 하고, 헌법이 요구하는 사회권 보장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국가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숙의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회권 실현을 위해 구체적인 정책을 형성할 정부의 재량을 존중하면서도, 사회권을 보장해야 할 국가의 헌법적 의무에 대한 설명책임과 투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사회권에 대한 헌법심사가 실질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인간 존엄에 합당한 사회권의 최저선과 관련해서는 이를 설정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한 심사기준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사회권 실현을 위한 입법 및 행정 조치의 합리성(reasonableness)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는 심사 모델, 인간의 존엄에 합당한 사회권의 최저선을 보장하기 위한 의무 이행 여부를 따지는 ‘최소핵심의무’ 기준은 그러한 점에서 중요한 검토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Social rights constitute the fundamental rights explicitly recogniz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ratified. Nevertheless, social rights have not been adequately applied as legal norms in the court by which the justifiability of the state actions are reviewed and effective remedies are provided in the case of a violation. It is largely because the perception that social rights, unlike liberal rights, are vague in their normative content and necessitate positive state action and substantial resource allocation, and thus are not suitable for justiciability remains prevalent in judicial practice as well as scholarly work. However,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such dichotomy between liberal rights and social rights in that contemporary human rights protection requires positive state action and resource allocation for the effective guarantee of all fundamental rights. Constitutional review of social rights can serve the function of directing attention to the reality faced by people living in poverty and in vulnerable situation who are not adequately represented in the representative political system, as well as facilitating deliberations about the justifiability of the state action meant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rights. In this sense, judicial review of social rights must be made to further enhance th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of the way in which the state relinquish its constitutional obligations concerning the situations of people living in poverty, while respecting the range of discretion of forming concrete policies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righ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andards that can be used to review particularly the minimum level of social rights in consistent with human dignity and the procedure and methods to determine it. Examining the ‘reasonableness’ standards and the concept of ‘minimum core obligations’ should be part of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way to enhance the constitutional review of social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