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옛 문헌과 근현대 문헌에 나타난 널뛰기의 기원과 놀이방법 (The origin and rule of Neolttwigi in the old and modern referenc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7.02
26P 미리보기
옛 문헌과 근현대 문헌에 나타난 널뛰기의 기원과 놀이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연구 / 37권 / 1호 / 303 ~ 328페이지
    · 저자명 : 문미옥, 김의경

    초록

    본 연구는 옛 문헌과 근현대 문헌을 고찰하여 우리나라의 고유놀이인 널뛰기의 기원 및 유래, 놀이 시기와 놀이 도구, 놀이 방법, 그리고 주된 놀이자의 성별과 연령대 등을 밝힘으로서 유아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널뛰기는 고려시대부터 이어져 온 우리나라 고유의 놀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놀이 형태를 가진 시소는 1700년대부터 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널뛰기의 역사성이 더욱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널뛰기는 음력설에 주로 하였으나, 시기나 계절 관계없이도 했던 것으로 나타났고, 긴 널판과 받침만 있으면 가능했으므로 도구 역시 크게 제약받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널판 양 끝에 서서 번갈아 뛰며 승부를 겨루는데, 어린이들은 안전하게 놀이하기 위해 늘어뜨린 줄을 잡고 뛸 수 있도록 하였고, 옆에서 다른 사람이 손잡아주는 경우도 있었다. 널뛰기는 주로 여성들이 놀았으나 성별, 연령 구분 없이 흥미를 가질 수 있으므로 우리 고유의 놀이로서 정체성 함양, 물리수학적 지식 습득, 기초체력 향상, 사회성 및 창의성 증진 등 교육적 가치가 높아 유아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finding out the origin, tools, play time, rules and the main player’s gender and age from the reference from the old and the modern age.
    The result showed that Neolttuigi is a Korean traditional play that has been passed down since the Goryeo dynasty. Compared to seesaw which has a similar rule, while seesaw was first stated as a play in the 1700s, Neolttwigi has a long history. Neolttwigi used to be played in the lunar new year’s day but it was actually played any time or in any seasons, and it was also very easy to play as it only required a long board and a support. Two people jump up on each end of the board, and they sometimes compete. For children’s safety, they held a rope while jumping on the board. If there were more children, people sometimes held their hands instead of the rope. Neolttwigi was mainly played by Women, but regardless of the age and gender, people were interested in Neolttwigi.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Neolttwigi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its high educational value in ter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improve the children’s identification, acquire physical-mathematical knowledge, improve their physical ability, sociability and crea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