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불교 마음공부의 주체와 그 작용: 공적영지(空寂靈知)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bject of Mindful Practice in Won�Buddhism and Its function: Focusing on Gongjeok Yeongji)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9
27P 미리보기
원불교 마음공부의 주체와 그 작용: 공적영지(空寂靈知)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5호 / 9 ~ 35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호, 장진영

    초록

    본 논문은 공적영지 개념을 중심으로 원불교 마음공부의 주체와 그 작용에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원불교 마음공부의 방법론을 살펴보고자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공적영지 개념의 연원과 의미, 그리고 원불교 마음공부에서 공적영지가 어떠한 작용과 역할을 하는지를 중심내용으로 살펴보았다.
    공적영지는 하택신회(荷澤神會) 이후 선가에서 중시되던 개념으로 보조지눌(普照知訥)에 의해 재인식되었으며 그의 저서인 『수심결』의 핵심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원불교에서는 『수심결』을 보조 경전으로 사용해오고 있으며, 공적영지의 개념은 일원상의 진리뿐만 아니라 수행과 신앙차원에서 교리전반에 사용되고 있다.
    소태산은 공적영지를 일원상 진리의 속성이면서 동시에 우리의 자성으로 인식한다. 이를 계승한 정산은 공적영지를 마음공부의 주체로 하여 무념과 유념이 조화된 마음공부를 지향한다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공적영지를 일상생활의 마음작용에까지 확대하여 활용하는 방법론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The paper aims at examining the subject of Won-Buddhism’s mindful practice and its func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void and calm numinous awareness or Gongjeok Yeongji(空寂靈知) mentioned by Jeongsan and then exploring the methodology of the mindful practice of Won-Buddhism based on this idea. To that end, the paper examined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concept of Gongjeok Yeongji and its function and role in Won-Buddhism.
    Gongjeok Yeongji was emphasized as the central concept in Seon(禪) Buddhism after Heze Shenhui (荷澤神會) and re-considered by Bojo Jinul (普照知訥), who wrote Cultivation of Mind (修心訣) regarding Gongjeok Yeongji as the main philosophy. In Won-Buddhism, Cultivation of Mind has been used as a supplementary scripture. In addition, the concept of Gongjeok Yeongji is used not only for the Truth of Ilwonsang, but also in the doctrine for practice and faith.
    Jeongsan recognizes Gongjeok Yeongji as both an element of the Truth of Ilwonsang and our original nature, as his teacher, Master Sotaesan, did.
    Jeongsan shows the characteristic of pursuing mindful practice in which no thought(無念) and mindfulness(有念) are harmonized with Gongjeok Yeongji as the subject. This is understood as a methodology that intends to expand and utilize the light of Gongjeok Yeongji for a function of mind in everyda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