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유학에 있어서 ‘公’의 이념과 그 전개-퇴계와 성호를 중심으로- (The Ideas of the "Public" and its developments in Joseon Confucianism-with Toegye and Seongho as the Central Figur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3.12
32P 미리보기
조선유학에 있어서 ‘公’의 이념과 그 전개-퇴계와 성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26호 / 213 ~ 244페이지
    · 저자명 : 김종석

    초록

    본 논문은 최근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公’적 가치를 어떻게 정립하고 실천할 것인가라는 이슈와 관련하여, 조선유학에서 公의 이념이 형성되고 전개되어 온 과정을 퇴계와 성호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것이다. 그들은 공통적으로 공적 가치의 정립을 중요한 학문적 과제로 탐구했을 뿐만 아니라 각기 16세기와 18세기의 성리학과 실학의 시대를 대표하는 사상가들이다. 퇴계는 중국의 정자와 주자에 의해 체계화된 성리학적 공동체론에 바탕을 두고 16세기 조선시대가 요구하는 공동체론을 정립하였다. 그는 기본적으로 우주만물을 한 몸으로 보는 정주학적 우주공동체론에 입각하고 있지만, 우주공동체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이 仁의 실천을 스스로의 일로 자임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에게 公의 실현은 인간의 실천적 노력에 달려있다는 점에서 실천적이라 할 수 있으며, 敬은 그 실천을 위한 방법이었다. 18세기의 성호는 公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그 중심에 서야 한다는 점에서는 퇴계의 생각을 충실히 계승했다. 그러나 그는 만물일체론에 바탕을 둔 우주공동체론에서 벗어나 實地實用에 입각하여 변화된 사회상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공동체론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에게 있어 公의 이념은 우주적 차원의 공동체 원리가 아니라 생활 속에서 실현되어야 할 원리였으며 구체적인 삶의 원리였다는 점에서 실용적이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 公․私의 엄격한 구분과 그것에 바탕을 둔 법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질 때 진정한 公의 이념이 달성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성호에 있어 실용은 단순한 편의적인 실용이 아니라 인간의 도덕적 각성과 그 실천을 강력히 요구하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formations and developments of the concept of the "public" in Joseon confucianism with Toegye and Seongho as the central figures. They are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ir ages, and both held the notion of the public as one of their priorities.
    Toegye founded the theory of public for the 16th Joseon, and it was based on neo-confucian theories of public established by Chinese scholars. Basically following Chu Hsi and other Sung scholars, he thought that all beings are formed into a great web of organism, but he emphasized that every human beings must take the fulfillment of Jen(仁) as their own duty for the whole organism to be operated properly. For Toegye, the realization of public was practical as it depended on human practices; he suggested Sincereness(敬) as a method to achieve it.
    Seongho who lived in 18th Century succeeded Toegye's thoughts that human being are at the center of realizing public for all other beings. But instead of the theory rooted on universal organism, Seongho wished to develop a more practical theory on public which could meet the fast changing social circumstances. For him, the idea of public was not the communitarian theory on the level of universe, but rather the theory of living world and actual living. Therefore the theory of public had pragmatic meanings for him. He thought that the idea of public would be realized only through separation the public from the private and through innovating rules and systems. Seongho's pragmatism was not just for temporary conveniences, it strongly demanded ethical awakenings and concrete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